![]()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개시하며, 미국 자동차 산업에 새로운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CNN 등 주요 외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날 오전 0시 1분부터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수입 부품을 사용했더라도 미국 내에서 완성된 차량에 대해서는 일부 관세 감면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상무부는 지난달 29일 언론 브리핑에서 미국 내 차량 조립 제조업체에 차량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관세 크레딧'을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이러한 혜택을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수입 부품으로 미국에서 조립된 차량 가격이 1,000달러일 경우, 조립업체는 다음 부품 수입 시 150달러 상당의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면제받게 된다.
상무부에 따르면, 첫해인 내년 4월 30일까지는 15%의 크레딧이 주어지지만, 이후 2027년 4월 30일까지는 크레딧이 10%로 축소되며, 그 이후에는 크레딧 혜택이 완전히 폐지될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2일부터 수입 완성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완성차에 대한 관세는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했지만, 미국 자동차 업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부품 관세는 해외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미국 업체들에게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
(사진=연합뉴스) |
CNN은 정부 통계 분석 결과, 관세 크레딧 혜택을 받더라도 제조업체들이 차량 1대당 약 4000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부품 관세 시행을 완성차 관세보다 한 달 늦추고, 시행 직전 2년간 크레딧을 제공하기로 한 것은 미국 자동차 업계의 반발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부품 관세가 업계에 상당한 악재로 작용하며, 미국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콕스 오토모티브의 조나단 스모크 수석 경제학자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수입 완성차 관세보다 부품 관세가 전체 경제에 더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