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카카오뱅크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금융기술업계가 지난 9일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를 일제히 개시한 가운데,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에 수요가 폭발적으로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다른 은행도 다 비슷하지만, 수요가 높다보니 찾아주시는 고객분들이 좀 많았다"면서 "조회 건수도 기존 대비 2배 정도 늘었고, 내부적으로 안정적 유지 수준이 있었는데, 첫날 목표치를 훌쩍 뛰어넘었다”고 전했다.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는 챗봇 인터페이스를 기반을 이용해, 보유 대출과 갈아타기 가능 여부, 예상 월 이자절감액까지 한 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구현했다.
아울러, 중도상환해약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추후에 금리가 더 떨어지는 상황이 되면 언제든지 더 좋은 조건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
카카오뱅크 금리는 이날 기준 ▲변동금리 대출 연 4.139%~4.666% ▲혼합금리 대출 3.456%~3.785% 수준이다.
카카오뱅크는 경쟁력 높은 금리 제공 배경에 대해서 “상담부터 실행까지 비대면 프로세스를 구축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모집인 수수료와 중개사 제휴 수수료 비용이 없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전했다.
또한 “시중은행처럼 영업점 등이 없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세이브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 고객에게 금리 혜택으로 돌려줄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출 금리라는 것이 조달 금리 기반으로 정해지는데, 카카오뱅크는 은행권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조달비용을 기반으로 경쟁력있는 대출금리를 제공할수 있다”고 부연했다.
![]() |
카카오뱅크. 사진=카카오뱅크 제공. |
실제로 카카오뱅크의 지난 2023년 3분기 실적자료에 따르면 저원가성 예금 비중이 56.9%로, 은행권 전체 평균 38.3%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고령자 편의성에 대해서도 “2023년 6월 대환 고객 약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고객 평균 연령은 43세로, 비대면에 친숙하지 않은 50-60대 비중도 약 20%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주담대는 KB부동산시세 등 시세 조회가 가능한 아파트를 담보로 한 10억원 이하의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을 갈아 탈수 있고, 쉽게 앱을 이용해 신청할 수 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