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아파트 입주율 67%로 하락…"PF 부실 악재에 거래절벽"

인더스트리 / 차혜영 기자 / 2024-01-09 16:36:41
서울 남산에서 내려다본 아파트일대.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67.3%로 전월 대비 5.0%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이 9일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난해 12월 전국 입주율은 67.3%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1.1%에서 76.2%로 4.9%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인 5대 광역시는 70.1%에서 65.0%로 5.1%p, 기타지역은 70.7%에서 65.8%로 4.9%p 하락해 수도권과 지방 모두 입주율이 하락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84.9%→79.9%, 5.0%p 하락)과 인천·경기권(79.3%→74.3%, 5.0%p 하락) 모두 소폭 낮아졌다.

반면 지방은 강원권이 11.3%p(65.0%→53.7%) 대폭 하락했다. 특히 강원권은 지난해 입주율 50~60선을 횡보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6%p(‘22년 평균 입주율 73.1%→‘23년 평균 입주율 57.5%)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주산연은 "입주율 하락세는 지역별 입주 차이와 고금리, 경기침체, 높은 거래가격수준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매각 지연(44.0%→49.1%), 분양권 매도 지연(4.0%→5.5%)은 증가한 반면 잔금대출 미확보(22.0%→18.2%)와 세입자 미확보(26.0%→18.2%)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존 주택 매각 지연은 지난 9월 이후 연속 증가(9월 36.2%→10월 41.7%→11월 44.0%→12월 49.1%)했다.

이는 경기침체, 고금리 기조로 위축됐던 주택시장이 부동산 PF 부실 악재가 겹쳐 얼어붙으면서 거래절벽이 심화된 것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12월 대비 1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7.7p(71.7→79.4)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4.3p(81.6→77.3) 하락한 반면, 광역시는 6.0p(74.4→80.4), 도 지역은 13.4p(66.0→79.4)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중 서울과 인천은 각각 4.9p(97.2→92.3), 8.5p(74.0→65.5)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연은 "거래량 및 입주물량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2월 이후 총부채원리금상환 비율(DSR) 산정 시 일정 수준의 가산금리가 부과되는 스트레스 DSR 제도 도입으로 인해 아파트 입주자금 확보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입주전망지수가 악화될 가능성 이 커 보인다"고 분석했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박문덕 하이트진로 가족회사 '서영이앤티' 부당지원...국민연금, '관리기업' 지정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