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일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 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대규모 유상증자에 대해 증권신고서 내용이 부족할 경우 횟수 제한 없이 정정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증권신고서가 새롭게 접수됐으므로 엄격한 심사 원칙을 견지하되 자금 조달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 원장은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들의 판단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신고서에 기재돼야 한다"며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에 구애받지 않고 신고서 정정 요구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지난해 두산로보틱스 합병 때와 기준이 같다"고 부연했다.
지난해 8월 두산그룹이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두산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인적분할해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편입한 뒤 합병을 추진할 당시, 이 원장은 "횟수에 제한 두지 않고 지속적으로 정정요구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두산로보틱스는 지난해 11월까지 수차례 정정 신고서를 제출하다 결국 12월 합병을 철회했다.
다만, 이 원장은 방산·조선 등 핵심 산업군의 대규모 유상증자 자체에는 긍정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기업 처지에서는 자본시장의 일차적 기능이 자금 조달"이라며 "특히 성장 산업의 투자 규모가 수조원에 달하는 최근 상황에서 자본시장 자금 조달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산과 조선은 한국 경제의 대표적인 산업군"이라며 "과감한 투자는 오히려 주주들이 환영해야 할 뉴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원장은 대기업 의사결정에 대한 소액주주들의 불신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소수 주주들은 대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한 불신이 가득하다. 합병·물적 분할·유상증자·상장폐지 등 자본 거래에서 소액 주주들의 이해관계가 짓밟혀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한화 측에서 진정성 있게 주주들과 소통한다면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sta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