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넷플릭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인 넷플릭스가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주목받고 있다.
자체적으로 예측한 2분기 실적 역시 월가의 전망치를 상회하며, 관세 전쟁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음을 시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넷플릭스는 지난 17일(현지시간) 1분기 매출액이 105억 4,300만 달러(약 14조 9,700억 원), 주당순이익(EPS)은 6.61달러(약 9,386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5%, 주당순이익은 25% 증가한 수치다.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매출 105억 1,000만 달러, 주당순이익 5.71달러를 모두 넘어선 실적이다.
1분기 영업이익은 33억 4,700만 달러(약 4조 7,524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영업이익률 또한 31.7%를 기록하며, 1년 전(28.1%)보다 상승했다.
넷플릭스는 관세 전쟁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올해 연간 실적 전망치를 매출 435억~445억 달러, 영업이익률 29%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한 110억 3,500만 달러, 주당순이익은 7.03달러로 예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 역시 월가의 전망치를 상회하는 수치라고 보도했다.
![]() |
(사진=연합뉴스) |
넷플릭스는 이번 분기부터 가입자 수 공개를 중단했다. 마지막으로 가입자 수를 공개했던 지난 해 4분기에는 전 세계적으로 1,890만 명 이상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한 바 있다.
넷플릭스는 1분기 호실적의 주요 요인으로 영국 드라마 시리즈 '소년의 시간'을 꼽았다.
또한, 지난 1월 공개 이후 넷플릭스 글로벌 TV쇼 비영어권 부문 1위를 차지했던 '중증외상센터'와 '폭싹 속았수다' 역시 실적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6월 27일 마지막 시즌 공개를 앞둔 '오징어 게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넷플릭스 주가는 올해 들어 9.7% 상승했으며,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5% 이상 급등했다가 소폭 하락해 미국 동부 시각 오후 6시 30분 기준 2.7% 안팎 상승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미국의 주요 기술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의 여파로 주가 하락 등 피해를 입고 있는 반면, 넷플릭스는 무형의 소프트웨어라는 특성상 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
일각에서는 관세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가 본격화될 경우, 넷플릭스가 오히려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