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치 보복 결단코 없을 것"…비상경제대응 TF 우선 구성

폴리이코노 / 김상진 기자 / 2025-05-25 16:02:17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캐스팅보트'로 꼽히는 충남지역 유세에 나선 25일 충남 당진시 당진전통시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고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5일 "대한민국 체제와 국민 생명을 위협한 내란 세력의 죄는 단호하게 벌하되 특정인을 겨냥한 정치 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권력을 남용한 정치보복의 해악을 누구보다 잘 아는 제가 분열의 정치를 끝낼 적임자"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 후보는 "지난 3년간 대통령이 분열을 조장하고 극단적 대립을 심화시켜 우리에게는 씻지 못할 깊은 상처가 남았다"면서 "서로를 미워하고 제거하려는 정치를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내란 세력 단죄'의 구체적 범위를 묻는 질문에 이 후보는 "내란의 주요 임무 핵심 당사자에 대한 단죄는 물론, 외환의 죄, 적국에 군사적 이익을 제공하거나 도발을 유도한 죄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 후보는 "만약 국민의 선택을 받게 된다면 가장 먼저 대통령이 지휘하는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통상 파고와 글로벌 안보 환경 변화가 가뜩이나 힘든 민생경제를 위기로 몰아넣고 있는 상황에서, 벼랑 끝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살리고 멈춰선 성장 엔진을 재가동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사법 개혁이나 검·경 개혁 같은 제도개혁도 중요하지만 조기에 주력해 힘을 뺄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며 "지금은 모든 에너지를 경제와 민생 회복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경기 진작책 추진 필요성을 언급한 이 후보는 "단기적인 경기부양이 필요한 상태인 만큼 민생의 어려움을 덜기 위한 추가 추경으로 급한 불을 꺼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경제성장을 위한 기업 활동 지원 방안으로는 "할 수 있는 것 외의 것은 못하게 하는 '포지티브 규제'는 문제가 많아 해서는 안 될 것을 규정하고 그 외의 것은 풀어주는 '네거티브 규제'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인사 정책과 관련해 이 후보는 "경제를 살릴 수 있다면, 국민을 위한 일이라면 이념과 진영을 가리지 않고 실행하겠다"며 "이재명 정부의 유일한 인사 기준도 '능력'과 '충직함', '청렴함'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통합도 중요하므로 성별과 지역, 계층별 균형을 배제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주요 공직자 국민 추천제를 활성화해서 국민이 추천한 인재가 국민을 위해 봉사하도록 할 것"이라며 "국민 주권이 일상적으로 실현되고 국정에 반영되도록 '국민 참여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갈등이 첨예한 현안에 대해서는 의제별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사회적 대타협을 통한 문제 해결의 사례들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또 권력 견제 시스템 강화 방안으로 이 후보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제대로 작동할 때 민주주의가 굳건해질 것"이라며 "비상계엄 국회 통제 강화,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검찰·경찰·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해 국회 임명 동의 절차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대통령 당선 시 입법부와 행정부를 독점하는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황당하다"며 "집권 여당이 국민의 뜻을 어기고 반역사적 행태를 보이니 이를 통제하라고 야당에 다수 의석을 주신 것 아닌가"라고 반박했다.

자신의 '대통령 4년 연임 개헌' 제안을 두고 장기 집권 의도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헌법에 '재임 중 대통령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쓰여있지 않나"라고 대응했다.

이 후보는 "개헌 당시의 대통령이 헌법 개정에 따라 추가 혜택을 받는 것을 국민이 쉽게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치적 공격으로 국민의 판단에 혼선을 주는 것은 자제하라"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준석 후보도 국민의힘의 대표를 지냈고 밀려 나왔을 뿐"이라며 "결국 단일화할 것으로 보고, 그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부인 김혜경 씨와의 동반 행보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아내가 뭘 하는지는 저도 잘 모른다"며 "아내의 판단에 따라서 할 테니까 그건 언급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했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

주요기사

조현, 韓기업 불법체류 단속에 "막중한 책임감…필요시 직접 방미"
李 대통령, 8일 여야 지도부와 오찬 회동…국힘 장동혁 대표와 개별 단독 회담도
李 정부 조직개편안 7일 윤곽…검찰청 해체·기재부 분리
李 대통령 "보안 사고 반복 기업, 징벌적 과징금"
李 대통령, 양대 노총과 오찬 회동…"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해야"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