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TTA '모바일 신분증 안면인식' 적합성 평가 통과

파이낸스 / 문선정 기자 / 2025-09-19 17:46:32
금융권 최초, 자체 안면 인식 기술의 우수성 입증, 모바일 신분증 인증 기술 선도

(사진=카카오뱅크 제공)

 

[알파경제=문선정 기자] 카카오뱅크가 안면 인식 기술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카카오뱅크는 자체 개발한 AI 기반의 안면 인식 기술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모바일 신분증 안면인식 적합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9일 밝혔다.

TTA는 ICT 표준 제정, 보급 및 시험 인증 지원을 위해 설립된 국가 공인기관이자 ICT 전문 시험인증기관이다. TTA는 안면 인식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가 보안 및 성능 기준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 안면 인식 기술은 인식 정확도와 위변조 탐지 등 주요 항목에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하며 평가를 통과했다. 

 

금융사뿐만 아니라 지난 7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개시한 민간 개방 기업 중에서도 자체 기술로 모바일 신분증 안면인식 적합성 평가를 통과한 곳은 카카오뱅크가 유일하다.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카카오뱅크는 지난 7월 실물 신분증 없이도 병원, 은행, 관공서, 편의점 등에서 신분 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선보였다.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발급된 모바일 신분증은 온·오프라인 상황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카카오톡 더보기 탭의 상단 지갑 옆의 모바일 신분증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객이 단말기 제약 없이 모바일 신분증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삼성월렛 지원 단말) 및 iOS 운영체제(OS)를 모두 지원한다.

카카오뱅크는 향후 TTA 평가를 통과한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안전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2021년 자체 개발한 안면 인식 기술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바이오 인식 시스템 성능 인증을 취득했다. 

 

이후 2023년 얼굴 위변조 탐지 기술에 대해 TTA의 R&D 결과검증 시험을 진행하는 등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며 탁월한 성과를 만들어왔다.

카카오뱅크는 AI 기술을 활용해 금융 기술 혁신을 선도함으로써 모바일 금융 안전망을 강화하고 금융 서비스 이용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이용 환경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뱅크는 2017년 출범 당시 자체 인증 도입을 통해 공인인증서 없는 안전하고 편리한 뱅킹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공인인증서 중심의 인증 체계에 대한 인식 전환과 금융권의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카카오뱅크는 금융기술연구소를 통해 다양한 인증 기술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신분증 촬영 및 OCR 인식, 안면 인증, 무자각 인증 등 각종 인증 및 보안 솔루션을 자체 기술로 개발해 실제 서비스에 도입했다.

 

알파경제 문선정 기자(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DB CSI손해사정, 2025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획득
네이버지도, '내비게이션' 기능 업데이트..운전점수 등 편의기능 강화
신한자산운용, 달러단기자금펀드(USD) 수탁고 1조원 돌파
신한은행, 땡겨요-강서구 공공배달앱 업무협약 체결
9월 넷째 주, 전국 548가구 청약 접수...추석 직전 물량 공세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