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영건설 여의도 사옥. (사진=태영건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금융당국이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과 관련 금융 및 건설업계로 전이 가능성은 제한적이고, 시장 불안심리 확산 방지에 힘을 쏟겠다는 방침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대주주의 강도높은 자구노력을 전제로 주채권은행 등 채권단과 워크아웃을 통한 경영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하고 있다.
정부·금융감독원·산업은행 등 관계기관은 태영건설의 PF사업장・협력업체・수분양자 현황을 바탕으로 신속한 대응을 추진 중이다.
현재 태영건설 관련 사업장(60개) 중 양호한 사업장은 정상 사업추진, 유사시 HUG 분양계약자 보호조치 가능, 정상진행에 어려운 사업장은 시공사교체‧재구조화‧매각 등 추진 중이다.
![]() |
(자료=금융감독원) |
분양진행 사업장(22개)은 태영건설이 계속시공, 필요 시 HUG 분양보증으로 시공사교체‧분양대금환급 등 분양계약자 보호조치다.
금융당국은 “금융시장 및 건설업 전반으로의 전이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시장불안 심리 확산 방지를 위해 금융시장 안정 조치 확대 및 건설투자 활성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부동산PF 연착륙을 위한 정상사업장 금융공급 ▲부실‧부실우려사업장 정상화‧재구조화 지원 및 ▲非아파트사업장 건설공제조합 보증 제공 ▲’건설투자 활성화 방안’도 조속히 마련‧시행에 나설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안정적인 국내외 시장 상황, 시장에서 예상한 이슈인 점 등 고려 시 금융시장 영향은 제한적, 불안심리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 등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시장안정조치의 규모‧내용 대폭 확대‧보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