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내년 주택시장에서도 수도권 지역의 집값이 상승하고 지방은 하락하면서 집값 양극화가 더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5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고 내년 주택시장이 전 고점 회복 흐름 속에서 지역 간 편차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도권은 구조적 공급 부족과 매수 심리 회복에 힘입어 2~3% 내외의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지방은 수요 위축으로 보합 또는 소폭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박선구 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 지표 부진과 지역 건설 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건정연은 올해도 주택시장이 수도권 중심의 상승과 지방의 하락·정체가 격차를 키운 양극화 상황이었다고 평가했다. 수도권은 매수심리·거래·가격이 모두 회복된 반면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정체가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고하희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착공 감소,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리스크, 3기 신도시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이 지속되면서 2~3% 수준의 상승세가 예상된다”며 “지방은 인구 및 수요 기반 약화로 인해 1% 내외 하락 또는 보합 흐름이 나타나면서 지역별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건정연은 올해 건설투자가 전년 대비 약 9% 감소한 264조 원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 등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수주·착공 감소 등 선행지표 부진이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내년 건설투자는 2% 증가한 264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