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11월 일자리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정부가 청년층 고용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인공지능(AI)과 신산업 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해 청년 고용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청년 고용 대책을 제시했다.
이 차관은 "AI·초혁신 성장을 통해 신산업 분야 등 청년 선호 일자리를 창출하고, AI 교육·직업훈련을 대폭 확대해 청년들의 취업역량 향상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AI 분야 벤처창업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쉬었음·구직 청년에 대한 맞춤형 고용서비스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기업·관계부처 등과 함께 청년들의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과제를 발굴해 경제성장전략 등을 통해 구체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전반적인 고용지표가 견조한 가운데에도 청년층 고용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10월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4.6%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 전 연령대 중 고용률이 하락한 것은 청년층이 유일하다.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여전히 40만명을 웃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청년층 고용 부진 장기화의 원인으로 산업·인구구조 변화, 노동시장적 요인, 경기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판단했다.
산업구조 변화로 우리 경제의 일자리 창출력이 저하되고 있는 데다, 기업의 수시·경력직 채용 관행이 확산되면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은퇴연령에 진입한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 1603만명)가 노동시장에 지속 참여하고, 인구가 많은 에코세대(1991~1996년생, 424만명)의 구직·이직이 지속되는 등 인구구조 변화로 고용시장 내 구직경쟁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star@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