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7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경제6단체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4일 "국무위원들과 함께 제게 부여된 마지막 소명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일각에서 제기된 대통령 선거 출마 요구에 대해 에둘러 선을 그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한미 통상 협상과 관련해 "이제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협상의 시간에 돌입했다"며 "정부와 민간의 대응 역량을 총결집해 국익을 지켜 나가는 데 사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라면서 "미국발 글로벌 통상전쟁은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민들의 삶을 개선하고, '무역 대국' 대한민국의 수출 경쟁력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한 권한대행은 각 부처 장관들에게 "오직 국익과 국민만 생각하며 미국 측이 제기하는 각종 비관세 장벽 및 협력 프로젝트 등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구체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저 또한 그간의 통상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네트워크 등을 십분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 권한대행은 지난달 24일 헌법재판소에서 자신의 탄핵 심판이 기각된 직후에도 국정의 안정적 운영·관리에 마지막 소임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4일 헌재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 직후부터 차츰 한 권한대행 차출론이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유력 주자들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와의 대결에서 크게 뒤지고, 미국발 통상 마찰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면서 '미국통', '경제통'이라는 한 대행의 경쟁력이 주목받게 됐다.
특히 한 대행이 지난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첫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출마 의사를 묻자 '여러 요구와 상황이 있어 고민 중'이라는 취지로 답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출마론이 불거졌다.
이날 한 대행은 다시 국정 운영과 대선 관리에 전념하겠다는 의중을 드러냈으나, 명확한 불출마 선언을 하지 않아 여전히 애매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선이 50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도 출마설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공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지난 2017년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출마설이 불거지자 박근혜 대통령 파면 닷새 만이자 대선 55일 전에 소집한 임시 국무회의를 통해 불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현재로서는 한 대행이 국민의힘 경선에 참여할 가능성이 낮아 보이지만, 일각에서는 한 대행이 무소속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한 뒤 보수 진영 후보와 일대일 단일화에 나설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거론한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일은 다음 달 3일, 출마를 위한 공직자의 최종 사퇴 시한은 같은 달 4일이어서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내부와 경선 주자들은 한 대행의 태도와 일부 의원들의 출마론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는 SBS 라디오에서 당 일부 의원들이 한 대행 출마를 촉구하는 데 대해 "경선의 김을 빼는 것 자체는 해당 행위"라고 지적했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CBS 라디오에서 "대선을 중립적으로 관리할 분을 출마시킨다는 것도 상식에 반한다"고 비판했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