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복귀·세종 이전 대안으로 부상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6·3 대선을 앞두고 용산 대통령실이 존폐 기로에 놓였다. 여야를 막론하고 유력 대권주자들이 용산 대통령실 이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청와대 복귀' 또는 '대통령실 세종 이전'이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5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대통령실에 파견된 공무원들은 6·3 대선을 기점으로 원대 복귀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일반 임기제 및 별정직 공무원들의 이탈도 이어지고 있으며, 현직 대통령 부재로 대통령실 상주 기자 수도 감소하는 추세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용산 대통령실은 빠르게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은 용산 대통령실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내란의 본산인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여야가 약속하자"고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기자회견에서 "여야가 합의 후 정부가 이전 작업에 착수한다면, 차기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용산이 아닌 다른 집무실에서 임기를 시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전 대표 또한 용산 대통령실 입성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과거 '세종 대통령실' 설립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역시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 소굴' 용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은 용산 대통령실 대신 청와대 복귀를 주장하고 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용산 대통령실은 불통과 주술의 상징"이라며 "당연히 청와대로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 복귀를 "국격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안철수 의원 또한 "청와대로 돌아가야 한다"며 "나머지 부지는 국민에게 개방하고, 미국 백악관 모델을 차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동훈 전 대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유승민 전 의원 등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대해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용산 대통령실 이용에는 선을 긋고 있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대통령실 용산 이전 비용으로 약 500억 원을 책정했다.
그러나 야권에서는 영빈관 신축 및 합동참모본부 이전 비용 등을 포함하면 이전 비용이 1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여야 대권주자들이 용산 대통령실과 거리를 두면서, 차기 정부 출범 시 용산 대통령실 폐쇄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