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라스베이거스) 김지현 기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소비자가전쇼(CES) 2024’에서 “수소는 저희 대(代)가 아니고 저희 후대(後代)를 위해서 준비해놓는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는 이날 CES 2024에서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종합 ‘수소 솔루션’을 발표하면서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이날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CES 2024 미디어데이에서 ‘수소와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이즈 에브리 웨이(Ease every way)’를 주제로 미래 비전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특히 수소 사업과 관련, 기존 연료전지 브랜드인 ‘HTWO’를 현대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로 확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 등 전 주기에서 맞춤형 패키지를 설계하는 ‘HTWO 그리드(Grid)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현대차는 ‘그린 수소(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얻는 수소)’ 생산을 위한 메가와트(㎿)급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물 전기 분해)’를 수년 내에 양산할 계획이다.
PEM은 알카라인 수전해 대비 수소 생산비용이 1.5배 정도 비싸지만, 수소 전기차용 연료전지 부품과 생산 인프라 공용화를 통해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특히 현대차는 폐기물을 활용해 수소를 만드는 자원 순환형 생산 기술도 공개했다.
자원 순환형 수소 생산 기술은 ▲유기성 폐기물(음식물 쓰레기·하수슬러지·가축 분뇨 등)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W2H)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전환하는 방식(P2H) 등 두 가지다.
현대차 관계자는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들과 협업해 현대차의 수소 전기차 모빌리티 기술을 통한 탄소중립 물류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현대차그룹은 수소 사회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연간 수소 소비량을 지난해 1만3000t에서 2035년 300만t으로 대폭 늘릴 방침이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