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승건 토스 대표.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강명주 기자] 토스가 금융 계열사 3곳을 스테이블코인 태스크포스(TF)에 참여시키는 구체적 행보를 통해 시장 선도를 노리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비바리퍼블리카(토스)는 최근 김규하 최고사업책임자(CBO)를 중심으로 스테이블코인 TF를 구성했다.
TF에는 토스뱅크, 토스증권, 토스페이먼츠가 참여해 발행부터 유통, 결제, 보관까지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구조를 갖췄다.
토스 관계자는 “TF 진행 과정에서 참여 계열사가 변동될 수 있다”고 밝혔지만, 현재 구성만으로도 생태계 전반을 아우를 내부 통합 인프라를 확보한 셈이다.
토스의 움직임은 카카오 그룹 뿐 아니라 각 금융권이 상표권을 출원하면서 선제적 행보를 노리고 있는 와중에 나온 것으로, 핀테크 업계의 스테이블코인 경쟁이 단순한 기술 검토를 넘어 실질적 사업화 단계로 진입했음을 보여준다.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기반 직접 송금이 가능하고, 법정화폐 기반 국가 간 결제에 활용될 수 있어 기존의 금융권 뿐 아니라 간편결제 플랫폼 등 각 기업들이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네이버페이도 지난달 두나무와 협력해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공동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고, LG CNS는 예금 토큰 발행부터 결제까지 상용화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관련 사업 기회를 전략적으로 대응 중이다.
금융권 공동 TF와 카드사 TF도 법제화 대응과 발행자 역할 검토에 나서며 업계 전반이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금융 계열사 간 유기적 협업이 가능한 구조와 빠른 의사결정, 기술력까지 겸비한 토스의 이러한 TF구성이 제도 본격화와 함께 시장 점유율로 이어질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알파경제 강명주 기자(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