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72.4% "올해 수출 작년 대비 유지·호전 전망"

인더스트리 / 차혜영 기자 / 2024-01-11 11:48:05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중견기업의 72.4%가 올해 수출 실적이 지난해 대비 유지되거나 호전될 것으로 내다봤다.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중견기업은 27.6%에 그쳤다.

11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공개한 '2024년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견기업의 45.5%가 올해 수출이 지난해 대비 확대, 26.9%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조사는 지난해 12월 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402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수출 확대 전망에는 경기회복(38.8%), 신규 진출 지역 매출 신장(35.0%)에 대한 중견기업인들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 58.8%, 화학물질·제품, 석유, 식·음료품은 50.0%, 도·소매업 43.2% 등 순으로 수출 확대를 전망한 중견기업 비중이 높았다.

수출이 감소될 것이라고 응답한 중견기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지속(64.9%)을 가장 큰 위험 요소로 꼽았다.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13.5%), 환율 변동성 확대(9.9%), 물류 비용 상승(3.6%)이 뒤를 이었다.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해 중견기업들은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33.1%), 수출국 다변화(29.9%), 내수 비중 증대(20.8%) 등 다양한 자체 수출 경쟁력 제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견기업인들은 수출 활성화를 위해 관세·부가세 등 세제 지원 강화(31.6%), 보증 등 무역금융 확대(27.9%), 수출 마케팅 지원(14.2%)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중견련 관계자는 "중견기업의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실적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난 전향적인 금융지원과 업종별 중견기업의 구체적인 요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효적인 세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견기업의 75.1%는 3개 이상 국가에 진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수출 시장은 미국(30.1%), 중국(22.4%), 일본(11.7%), 베트남(10.4%), 유럽(7.2%) 등 순으로 조사됐다.

수출 시 어려움으로는 통관 등 행정 애로(25.1%)와 해당국 수입 규제(24.9%)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어 인증 등 기술 규제(18.9%), 현지 법률 정보 부족(17.9%)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해당국 수입 규제는 중견기업 수출 시장 상위 세 개 국가인 미국(29.8%), 중국(28.9%), 일본(34.0%)에서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34.3%는 신규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진출 목표 시장은 미국(21.7%), 베트남(14.5%), 유럽(14.5%), 인도네시아(10.1%) 등 순으로 조사됐다.

신규 시장 진출 추진 이유로 기존 시장 포화(31.2%), 신사업 확대(20.3%), 전략적 입지 확보(20.3%), 거래사와의 협업 강화(17.4%) 등이 꼽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경제적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 속에서도 72.4%의 중견기업들이 수출 실적 유지, 호전을 전망한 조사 결과는 경제 활력 제고의 의미 있는 신호"라면서 "공급망 재편, 자국중심주의 확산 등 무역·통상 환경이 크게 변화된 만큼 안정적인 수출 시장 확보를 위해 수출국 다변화, 공급망 안정화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될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긴밀한 소통을 이어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박문덕 하이트진로 가족회사 '서영이앤티' 부당지원...국민연금, '관리기업' 지정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