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은행의 골드뱅킹(금 통장) 잔액이 1조 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가격이 급등한 결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금값이 당분간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관련 상품에 대한 투자 움직임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 3곳(KB국민·신한·우리)의 지난 14일 기준 금 통장 잔액은 9534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약 1년 전인 지난해 3월 말(5660억 원) 대비 약 70% 증가한 수치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국제 금 시세가 오르면서 관련 잔액은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도 이달 초까지 잔액이 4% 이상 늘었다.
금 통장은 고객이 돈을 입금하면 국제 금 시세와 원/달러 환율을 적용해 금으로 환산·적립하는 상품이다.
최근 골드바 품귀 현상도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 신한·NH농협·하나은행만 골드바를 판매 중이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공급 차질로 인해 각각 지난달 중순부터 판매를 중단했다.
골드바 판매량 역시 감소 추세로, 이달 들어 14일까지의 판매액은 14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앞서 올해 초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보다는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양이 거래되고 있다.
지난주 국제 금값은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000달러를 넘어섰으며, 매쿼리그룹은 올해 하반기에는 온스당 35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에서도 지난달 최고치를 기록했던 금값은 이후 일부 조정됐으나, 국제 시세 상승에 따라 다시 오름세를 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