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네이버가 두나무를 계열사로 편입하며 AI·웹3 기반의 차세대 글로벌 금융 플랫폼 구축에 본격 나섰다.
블록체인 대중화 흐름과 에이전틱 AI 전환 등 기술 변곡점이 겹치며 신성장 기회를 선제적으로 잡겠다는 구상이다.
27일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는 전날 이사회에서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의 ‘기업융합’을 의결한 데 이어, 이날 서울 네이버 1784 사옥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3사의 글로벌 진출 비전을 공개했다.
이 자리에는 네이버 이해진 의장을 비롯해 두나무 송치형 회장과 김형년 부회장, 네이버 최수연 대표와 두나무 오경석 대표, 네이버파이낸셜의 박상진 대표 등 3사 최고 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블록체인 대중화와 에이전틱 AI 전환이 맞물린 현 시점을 “새로운 혁신을 시도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기”라고 규정했다.
그는 “글로벌에서 등장하는 기술 흐름에 대응하고, 새로운 시장 질서를 만드는 데 3사가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세 회사의 결합을 통해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과 생활 서비스까지 포괄하는 차세대 글로벌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네이버의 AI 역량이 웹3와 결합해야 차세대 디지털 금융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며 “글로벌 기업들이 아직 시도하지 않은 영역에서 빠른 의사결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딜이 완료되면 △두나무의 블록체인·웹3 기술력과 글로벌 탑티어 거래량 △네이버파이낸셜의 연간 80조원 규모 결제 인프라 △네이버의 AI·검색·커머스·콘텐츠 역량이 하나의 플랫폼에 모인다.
최 대표는 이 구성을 “사용자–데이터–기술–서비스–자본력을 갖춘 풀라인업”이라며 “글로벌 웹3 시장 진출을 위해 조직문화를 통합하고 실행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은 “향후 대부분의 자산이 블록체인 기반 토큰 형태로 유통되는 흐름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한국이 디지털자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3사는 기업융합 이후 국내 기술·개발 생태계 활성화에도 힘을 싣겠다는 계획이다.
AI와 웹3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국내 개발환경과 인재 생태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판단이다.
네이버·두나무·네이버파이낸셜은 향후 5년간 총 10조원을 투입해 기술·서비스·개발자 생태계를 지원할 계획이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지배구조 개편보다 글로벌 시장 진출과 자본시장 접근성 확대에 우선적으로 집중하겠다”며 “기업융합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