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10곳 중 6곳, 지난해 글로벌 위기에도 투자 확대·유지

인더스트리 / 차혜영 기자 / 2024-01-10 10:26:18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사진=한국중견기업연합회)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중견기업 10곳 중 6곳은 전년 대비 투자 규모를 확대하거나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공개한 '2023년 중견기업 투자 실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중견기업의 62.5%가 전년 대비 투자 규모를 유지하거나 확대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공급망 불안정 등 급격한 대외 환경 변화에도 절반에 가까운 48.0%의 중견기업이 투자 규모를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중견기업의 14.5%는 투자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투자 확대를 견인한 요인으로는 △기존 사업 확장(47.7%) △노후 설비 개선·교체(36.4%) △신사업 진출(6.8%) △해외 진출(6.8%) 등이 꼽혔다.

투자 유지 또는 축소 원인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 상황(40.6%) △내수 경기 부진(31.4%) △글로벌 경기 침체(12.1%) △자금 조달 애로(8.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인들은 △법인세 인하(58.6%)가 투자 확대에 가장 도움이 된 정책이었다고 밝혔다. △투자세액공제율 확대(13.8%) △민간투자 저해 규제 혁파(13.2%) △지방투자 활성화 지원(4.9%)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의 44.4%는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최우선 정책 과제로도 추가적인 '법인세 인하'를 꼽았다.

제조 중견기업(24.4%)의 투자 확대 비중은 비제조 중견기업(6.9%)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업종별로는 1차금속·금속가공(33.3%), 화학물질제품·섬유(31.6%), 전자부품·통신장비(26.7%), 식·음료품(23.1%), 부동산·임대업(13.6%), 출판·통신·정보서비스업(13.3%) 등 순으로 투자 규모를 확대한 중견기업 비중이 높았다.

중견기업인들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35.9%)을 가장 큰 투자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 △인력 부족(24.0%) 세제 등 지원 혜택 부족(14.5%) △법·제도 등 각종 규제(13.8%) 등도 주된 투자 애로로 확인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된 52조 원의 시설투자 자금 설치, 시설투자 임시투자세액공제 1년 연장, R&D 투자 세액공제율 상향 등 구체적인 투자 지원 정책에 더해, 법인세 인하를 비롯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원 방안이 추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박문덕 하이트진로 가족회사 '서영이앤티' 부당지원...국민연금, '관리기업' 지정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