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업계 반발에 일부 품목 관세 면제 결정”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 컴퓨터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 및 보편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아이폰을 비롯한 전자제품 가격 급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번 결정은 강경한 무역 정책을 고수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유연성을 보이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향후 미·중 무역 협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흘러 나온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11일(현지시간) 중국산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와 10%의 보편 관세 부과를 면제한다고 공지했다.
면제 대상에는 스마트폰, 컴퓨터 외에도 태양광 전지,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전자 부품이 포함됐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등 특정 품목에 대한 부분별 관세 부과를 공언해왔기 때문에 이 같은 조치가 일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다만,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중국에 부과된 상호 관세 125%보다는 낮은 수준일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의 품목별 관세는 통상 25% 수준에서 결정되어 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발표를 예고했다.
![]() |
(사진=연합뉴스) |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대통령에게 긴급 조치 권한을 부여한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주요 기술 기업들이 생산비 증가에 따른 소비자 가격 인상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
(사진=연합뉴스) |
특히 아이폰을 비롯한 전자기기의 상당수가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어, 고율 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 내 제품 가격이 최대 2~3배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보고서를 보면 작년 한해 미국에서 판매된 스마트폰 중 절반 이상이 애플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판매용 아이폰의 약 80%가 중국에서 제조되고, 나머지 20%는 인도에서 생산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상호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대형 기술 기업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번 관세 면제 대상에는 자동 데이터 처리 장치, 컴퓨터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등 데이터 처리기 전용 부품, 반도체 웨이퍼 제조 장비, 스마트폰, 라우터, 네트워크 스위치 등 무선 통신 기기, SSD, USB 플래시 드라이브 등 비휘발성 저장 장치, LCD, OLED 모니터 및 디스플레이 패널 등 디스플레이 모듈 등이 포함된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