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조현 외교부 장관, 구윤철 경제부총리,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던 한미 간 2+2 재무통상 협상이 미국측 사정으로 연기됐다.
기획재정부는 24일 "미국과 예정됐던 25일 2+2 협상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미국측은 조속한 시일 내에 개최하자고 제의했고, 한미 양측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협상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베센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2 형태로 만날 예정이었다.
협상 연기에 따라 24일 오전 10시25분 대한항공편으로 방미 예정이던 구 부총리의 출국도 취소됐다.
기재부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현재 워싱턴에 머물고 있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측과의 협의는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협상은 미국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시점을 일주일 앞두고 마련된 것으로, 사실상 최종 담판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한미 양국은 지난 4월 24일 1차 협의를 한 이후 3개월 만에 고위급 회담을 개최할 예정이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앞서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중요한 것은 무역 합의의 질이지 타이밍이 아니다"라며 "8월 1일까지 합의하는 것보다 질 높은 합의를 하는 것에 더 관심이 많다"고 언급한 바 있다.
구 부총리는 22일 대외경제장관회의를 마친 뒤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마지막 갈 때까지 최선을 다해 아주 촘촘한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회담에서 한국에 대한 25% 상호관세 인하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 인하 필요성을 설득하고, 에너지 분야 등에서 미국산 수입 확대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