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출금리 두고 예금금리만 낮춘다...'예대금리차 최대'

파이낸스 / 김혜실 기자 / 2024-12-30 09:47:31
(사진=연합뉴스)

 

예대금리차가 거의 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최근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가 떨어졌지만, 은행권에선 대출금리는 그대로 둔 채 예금금리만 낮추며 이자장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11월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00∼1.27%p로 집계됐다. 

 

예대 금리차는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금리 간 격차로,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은행 이자 마진이 커지는 셈이다. 

 

금리 하락기에는 은행 예대금리차가 줄어드는 것이 보통이지만,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압박에 시중은행들이 올해 하반기 가산금리를 덧붙여 대출금리를 올린 뒤 내리지 않은채 예금금리만 낮추면서 폭이 확대됐다.

 

5대 은행 중 KB국민은행과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각각 1.27%p로 가장 컸고, 하나(1.19%p)·우리(1.02%p)·신한(1.00%p) 순으로 집계됐다. 5대 은행 가계 예대금리차가 모두 1%p를 넘어선 것은 2023년 3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11월 예대금리차가 5.93%p로 가장 많았고, 토스뱅크(2.48%p), 한국씨티은행(2.41%p), 카카오뱅크(2.04%p)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속보]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2일부터 지급 개시…1인당 10만원 지급
네이버페이, ‘증권플러스 비상장’ 인수…증권업 진출 초읽기
KB·하나銀, '9·7대책' 반영 비대면 주담대 재개
금융위, 포용금융지원과 신설...서민안정기금 속도낼까
삼성생명, 실적·자본 안정성 개선...밸류업 기대감도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