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약 2억원 상당의 미국 3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기재부 강영규 대변인은 31일 "부총리는 2017년 공직 퇴직 후 자녀 유학 준비 과정에서 2018년 달러를 보유했다"며 "보유 중인 달러로 지난해 중반 미국 국채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의 환율 변동과는 무관하다"고 덧붙였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27일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지난해 11월 기준 1억9712만원 상당의 30년 만기 미국 국채를 보유했다고 신고했다.
미국 국채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수록, 즉 원화가치가 하락할수록 투자자가 이익을 보는 금융상품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광화문 광장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최 부총리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경제 안정에 애써야 할 경제부총리가 알고 보니 입으로만 안정을 외치고 뒤로는 환율 급등, 외환 위기에 베팅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경제 수장으로서 미국 국채에 투자하고 환율 급등에 베팅한 행위는 경제 내란이자 국민을 배신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홍성국 최고위원도 "원·달러 환율이 위기에 처해 있는데 달러를 사는 게 기재부 장관의 역할인가"라며 "이번 미국 국채 투자로 나라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데 열중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줬다"고 비난했다.
민주당은 최 부총리의 이해충돌 가능성까지 제기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에 따르면 직무에 사적 이익 관계가 개입될 경우 반드시 직무를 회피하게 돼 있다"며 "최 부총리가 미국 국채를 구입하고 사실상 경제를 운용하는 것은 명백한 이해충돌"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 부총리는 당장 경제부총리 업무를 회피하기 바란다"며 "그러지 않으면 국회가 강제로 직무를 회피하게 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윤석열 쿠데타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환율이 급등했다"며 "환율 폭등으로 국민이 고통에 시달릴 때 최 부총리는 무슨 생각을 했던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최 부총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그는 2023년 12월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에도 대통령실 경제수석 시절 1억7000만원 가량 미국 국채를 매수했던 사실이 문제가 됐다.
당시 야당 의원들의 비판을 수용해 해당 상품을 매각했으나, 이후 부총리가 된 다음 다시 미국 국채를 구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 부총리는 다른 공직자들과 달리 한국 경제 정책의 사령탑이자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고 관련 정보도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