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보, 후순위채 조기상환 보류…신용등급 전망 무더기 강등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5-05-14 09:23:55
롯데손해보험 CI. (사진=롯데손해보험)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롯데손해보험이 금융감독원의 제동으로 후순위채 조기상환을 보류하면서 한국기업평가가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롯데손해보험이 지난 12일 금융감독원에 후순위채 조기상환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상환 후 지급여력(K-ICS) 비율 150% 이상을 맞추지 못함에도 강행했다가 금감원의 제동으로 결국 백기를 든 것이다.

한국기업평가는 13일 롯데손보의 보험금지급능력등급(IFSR)과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신용등급은 각각 'A', 'A-', 'BBB+'로 유지됐다.

한기평은 "롯데손보의 자본 관리 부담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제도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이익이 큰 폭으로 변동하고 있고 운용자산 리스크가 현실화되며 투자 손실이 증가하고 자산건전성이 저하된 점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롯데손보의 지난해 말 킥스 비율은 156%로, 경과조치 효과와 해지율 관련 예외모형 적용 효과에 크게 의존했다. 원칙모형 적용 시에는 127%로 업계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국내 보험사 중 예외모형을 적용한 회사는 롯데손보가 유일하다.

한기평은 "할인율 산출 기준 현실화와 기발행 자본성 증권 콜옵션 행사 시점 도래 등이 추가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기본자본 규제 도입도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지난해 말 롯데손보의 기본자본 지급여력 비율은 -2%(경과조치 적용 후)로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대주주가 사모펀드인 JKL파트너스여서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확충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평가다.

한기평은 "재보험 출재와 위험자산 매각을 통한 요구자본 축소, 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자본성증권 발행 등 기본자본 지급여력 비율 제고를 위한 다각적 전략이 실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롯데손보의 보험계약마진(CSM)과 보험손익은 제도 변화에 따라 크게 변동하고 있다. 무·저해지보험의 해지율 가정 가이드라인을 지난해 4분기 적용하며 대규모 CSM 조정이 발생했다.

한기평은 "제도 영향이 CSM 관리 능력과 경상적인 이익창출력을 벗어나며 관련 지표의 저하가 두드러졌다"고 지적했다.

업계 내에서 유일하게 예외모형을 채택해 CSM 조정과 손실 발생 폭을 줄인 것으로, 원칙모형 적용 시 CSM은 2조3000억원에서 2조원으로 감소하며, 순손익은 242억원에서 마이너스 329억원으로 적자 전환한다.

한기평은 "올해 손익은 지난해와 비교해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보험손익 안정화 여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롯데손보는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사모 후순위채 등 자본확충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시장 불안감으로 조달 여건이 녹록지 않다. 발행 여건 악화로 고금리인 연 7~8% 수준을 제시해야만 투자자 유치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올 3분기 중 자본 규제를 기존 150%에서 130%로 완화하면서 부담을 덜 수 있지만, 지속하는 건전성 우려로 투자 수요가 부진할 수 있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후순위채 상환 관련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중도상환을 검토했지만 금감원과 논의한 결과 중도상환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자본확충을 실행해 중도상환 일정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월급 300만원으로 2년만에 1억 만들기. 어떻게 하면 될까? [알쓸차근: 월급탈출 인생수정]
네이버·토스·카카오에서 실손 보험보험 청구 한번에 가능해진다
[마감] 코스피, 美고용지표 경계감 속 3200대 제자리걸음
서울 집값 소폭 상승세 지속..공급대책 발표 주시
서울 민간아파트 ㎡당 분양가 2천만 원 첫 돌파..'국평 17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