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유나이티드헬스그룹(UNH.N)이 CEO 교체와 2025년 가이던스 철회를 발표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이 같은 소식에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의 주가는 하루 만에 약 17.8% 급락하여 1998년 이후 최대 일일 하락폭을 기록했다.
유중호 KB증권 연구원은 "여러 악재에 대응하기 위한 전임 CEO의 복귀는 장기적으로 긍정 요인일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정부의 정책 변경과 높은 의료 비용 등의 악재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에는 높은 변동성이 예상된다"고 판단했다.
이를 고려하여 운용 비중 축소 의견을 제시했다.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작년부터 여러 위기를 겪었다.
작년 12월, 보험 사업을 영위하는 유나이티드헬스케어의 CEO인 브라이언 톰슨이 뉴욕에서 피격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그 전에 자회사 해킹으로 일부 기술이 마비되는 운영상의 어려움도 있었다.
이어서 5월 13일 앤드류 위티 CEO는 개인적인 사유로 사임을 발표했고, 후임자로 전임 CEO이자 현 이사회 의장인 스티븐 헴슬리가 CEO로 복귀했다.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부문 의료비 증가, 해킹 여파 등 리스크 대응을 위해 경험 많은 리더십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란 예상이다.
헴슬리는 2006년부터 2017년까지 CEO로 재직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자회사인 옵텀을 출범하는 등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을 미국 최대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시킨 주역으로 평가받는다.
헴슬리 재직기간 동안 유나이티드헬스그룹 매출은 약 180% 증가했다.
전성기의 기반을 마련한 베테랑 CEO를 맞이한 점은 장기적으로 긍정적 요인일 수 있으나, 지금 같은 환경 속 잇따른 경영진 교체는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 |
유나이티드헬스그룹 종목 진단(출처=초이스스탁) |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지난 실적 발표 당시 정부 정책 여파로 인한 비용 증가로 가이던스를 일부 하향한 바 있는데, 최근 발표에서는 가이던스를 철회했다.
2025년 전망을 보류한 이유는 1분기보다 진료 활동이 빠르게 증가 중이고 다양한 형태의 보험 혜택으로 확장되었으며, 유나이티드헬스케어의 신규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가입자들의 의료 비용이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장기적으로 2026년부터 다시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언급했다.
신규 CEO를 맞이하여 전략이 바뀔 여지는 있으나 기존 발표를 살펴보면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정책에 대응하여 신규 가입자의 리스크 점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재택 진료 및 초기 임상평가를 강화하고 있다.
진단 이력이 부족한 신규 고령 환자의 환급 손실을 방지하고 개선된 시스템을 도입해 진단 및 코딩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유중호 연구원은 "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다각화된 사업(의료기관, 컨설팅, 의약품 보급관리)을 보유 중이나, 정부 정책과 비용 부담이 증가하는 운영 여건에 따른 변동성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