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총무성, 위성 통신망 대응 위해 전파 감시 체제 재검토

글로벌비즈 / 우소연 특파원 / 2025-05-26 10:22:17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일본 총무성이 위성 통신망 보급에 발맞춰 전파 감시 체제 재검토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와 같이 인공위성을 이용해 스마트폰과 직접 통신하는 서비스가 일본자국내외에서 실용화됨에 따라, 기존 감시 체계로는 전파 포착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총무성은 이달 내 전문가 회의를 발족, 2026년까지 새로운 위성 통신망 대응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총무성은 전파법에 의거, 전국 수백 개의 센서를 통해 전파를 감시하고 있다. 

 

이는 통신 장애 발생 시 원인 규명, 불법 개조 무전기 단속 등을 위한 조치다. 일본 총무성에 접수되는 통신 방해 및 간섭 신고는 연간 2,000건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DDI는 스타링크를 활용, 국내에서 스마트폰-위성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개시했다. 

 

기존 BS, CS 위성 방송·통신과 달리, 스타링크처럼 이동하며 고주파 대역으로 통신하는 위성 감시는 난제로 지적된다. 주파수 혼란 발생 시, 다른 통신 위성과의 혼신으로 인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총무성은 지상 안테나가 인공위성 움직임을 자동 추적,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상 중이다. 

 

스마트폰 통신용 위성과 다른 위성을 구별하는 기술, 안테나 정비 거점의 수 및 위치 등이 주요 논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5G 등 고속 통신 규격에서 활용이 증가하는 고주파 전파 감시 역시 해결 과제다. 고주파 전파는 고속 대용량 통신에 유리하나, 도달 범위가 좁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수백 개의 센서만으로는 전파 포착이 어려워, 새로운 감시 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고주파 대역 전파를 기존 방식으로 감시하려면 수만 개의 센서가 필요하며,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막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총무성은 효율적인 불법 전파 포착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

주요기사

혼다(7267 JP), 무게중심 이동 전동의자 출시...상업시설·병원 타겟 1000대 도입 목표
소니(6758 JP) 금융자회사, 일본 첫 '부분 스핀오프' 상장...최대 1000억엔 자사주 매입 계획
일본 이시바 총리 사퇴...닛케이 4만3600엔 돌파
일본 4~6월 GDP 2.2% 성장, 폭염 특수로 개인소비 급증...7~9월은 마이너스 예상
리비안(RIVN.O), 'R2' 출시 준비 앞두고 구조조정..."정부 보조금 축소 타격"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