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금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장기 연체 채무자 구제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배드뱅크 '새도약기금'이 출범 한 달째를 맞았으나, 핵심 대상인 대부업체들의 참여가 지지부진해 난항을 겪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연체채권 매입가율이 지나치게 낮다는 업계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정부가 유인책 마련에 나섰지만 힘겨루기가 길어지며 채무자들의 재기 기회만 멀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출범한 새도약기금에 협약을 맺은 대부업체는 현재까지 총 12곳에 그쳤다. 이 중 상위 10개사에 해당하는 곳은 1곳뿐이며, 상위 30개사로 범위를 넓혀도 4곳에 불과하다.
대부업계가 보유한 새도약기금 매각 대상 연체채권 규모는 약 6조7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은행(1조2301억원), 카드(1조9019억원) 등 다른 업권보다 훨씬 큰 규모다.
하지만 현재까지 가입한 상위 30위권 4개사의 보유 채권 규모는 5800억원대로, 전체 대부업계 물량의 8%를 겨우 넘는 수준이다.
대부업계의 참여가 저조한 가장 큰 이유는 정부가 제시한 채권 매입가율(5%)이다. 대부업체들은 연체 채권의 매입가가 최소 액면가의 25%는 돼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앞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0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대부업) 상위 10개사가 협조하겠다는 의사 표명이 있었다"고 밝혔으나, 현재까지 실적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대부업체들이 협약 가입 전 최대한 유리한 인센티브를 받아내기 위해 정부와 막판 줄다리기를 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협약 참여 대가로 코로나19 시기 발생한 연체 채권 매입을 허용해주는 등 규제를 풀어줄 수 있다는 기대감도 감지된다.
금융당국은 대부업체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유인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연체 채권을 매각한 업체들에 은행 차입을 열어주는 방안 등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