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형록 발란 대표. (사진=발란) |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명품 온라인플랫폼 발란이 3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발란 측은 이날 투자 유치 지연으로 인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회생절차와 함께 인수합병(M&A)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형록 발란 대표는 "올해 1분기 내 계획한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졌다"며 파트너들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회생을 신청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다"고 강조했다. 또한 "3월부터는 쿠폰 및 각종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발란은 평균 월 거래액이 3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지난해 이커머스 업체 티몬·위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와 유사한 상황으로, 입점사들이 당장 정산금을 받지 못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 대표는 "단기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만 해소된다면 빠르게 정상화될 수 있다"며 "앞으로 진행할 회생절차는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건강한 재무구조로 재정비해 파트너의 권익을 신속히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사업 기반을 마련하는 회복의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회사는 이번 주 중 매각 주관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최 대표는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해 현금흐름을 대폭 개선하고 사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빠르게 높일 것"이라며 "인수자 유치로 파트너들의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발란은 담보권자나 금융권 채무가 거의 없는 구조"라며 "회생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채권자는 바로 파트너 여러분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인수자 유치 과정에서 기존 입점사들이 계속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고 약속했다.
최 대표는 발란의 목표로 ▲회생 인가 전 인수자 유치 ▲미지급 채권 전액 변제 ▲안정적인 정산 기반과 거래 환경 복원 ▲파트너와의 거래 지속 및 동반 성장 등을 제시했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