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대통령실은 31일 미국이 한국에 부과 예정이던 상호관세와 한국산 자동차 관세를 모두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이 한국에 8월 1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진다"며 "또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고 밝혔다.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 개방 압박이 있었지만, 한국은 핵심 품목에 대한 보호막을 유지했다.
김 실장은 "미국과 협의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합의의 핵심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펀드 조성이다. 김 실장은 "한미 조선협력 펀드 1500억 달러는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한다"고 밝혔다.
추가로 2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펀드도 조성된다.
김 실장은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에 대한 대미 투자펀드도 2000억 달러 조성될 예정"이라며 "우리 기업이 전략적 파트너로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미국 진출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대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