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CEO, AI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 시사"

글로벌비즈 / 우소연 특파원 / 2024-11-14 11:51:08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책임자(CEO)는 13일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공급망 강화와 제조 거점 다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4일 전했다.


현재 엔비디아는 대만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에 AI 반도체 생산을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황 CEO는 "TSMC는 매우 뛰어난 회사이지만 기업이 사업 운영의 탄력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공급을 다양화하고 여유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황 CEO는 일본 반도체 기업 라피다스에 대한 신뢰를 표명하며 향후 생산 위탁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라피다스에 제조를 위탁할 기회가 온다면 명예로운 일이 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라피다스는 2027년까지 반도체 위탁 생산 시장에 진입할 계획이며 2025년 4월부터 홋카이도 공장에서 최첨단 칩 시제품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황 CEO는 "일본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충분한 능력이 있다"고 일본의 반도체 제조 기술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실제로 일본은 반도체 소재 세계 시장의 50%, 장비 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다.

미국 차기 정부의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황 CEO는 AI와 로봇 기술의 융합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그는 "AI의 혁신은 디지털에서 물리적 영역으로 확장될 것"이라며, "로보틱스 영역에서 일본보다 뛰어난 나라는 없다"고 말한 황 CEO는 야스카와전기, 가와사키중공업 등 로봇 기업들과의 AI 개발 협력을 언급했다.

또한 의료기기 분야에서 캐논, 후지필름 홀딩스 등과의 협업도 소개했다.

황 CEO는 "향후 5년간 인간형 로봇의 진화가 눈부시게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하며, 일본이 로보틱스와 제조업의 강점을 바탕으로 'AI의 나라'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에 대해 아직 거대 기업은 없고, 지금은 리셋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라고 말한 황 CEO는 "일본 기업과 연계하여 AI 혁명을 선도해 나가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

주요기사

케어링(KER.PA), 대규모 해킹 피해 인정…구찌·발렌시아가 등 고객 정보 유출
인텔(INTC.O), 알테라 지분 매각…연간 비용 전망 하향 조정
코어위브(CRWV.O), 엔비디아(NVDA.O)와 64억 달러 규모 대형 계약…'미판매 용량 매입 조건부'
머스크, 10억 달러 테슬라(TSLA.O) 주식 매입…'보상 패키지 표결 앞두고 존재감 과시'
노바티스(NVS.N), 몬테 로사와 57억 달러 규모 라이선스 계약…면역 매개 질환 공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