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7267 JP), EV 투자 대폭 감액…트럼프 정책 영향

글로벌비즈 / 우소연 특파원 / 2025-05-21 10:11:11
(사진=혼다)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혼다가 전기차(EV) 전략을 전면 재검토하며, 투자 규모를 대폭 축소한다고 20일 발표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1일 전했다.


트럼프 미국 정권의 EV 지원 정책 재검토 방침과 함께 예상보다 더딘 EV 보급 속도에 따른 투자 리스크 증가를 고려한 결정으로 당초 2030년까지 EV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10조 엔을 투자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30% 감액한 7조 엔으로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베 토시히로 혼다 사장은 2030년 자동차 판매량 중 EV 비중 목표를 기존 30%에서 20% 수준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판매 목표 역시 당초 200만 대 이상에서 70만~75만 대로 축소될 전망이다.

캐나다에 건설 예정인 EV 및 배터리 공장 역시 2년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150억 캐나다 달러(약 1조 5000억 엔)를 투자하여 2028년 가동을 목표했으나, 2030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투자 재개 여부는 향후 2년간의 시장 상황을 지켜본 후 결정될 예정이다.

이러한 전략 수정에 따라, 2030년까지의 EV 투자액은 기존 10조 엔에서 7조 엔으로 대폭 줄어들게 된다. 다만, 2040년까지 전 세계 신차 판매를 EV 및 연료전지차(FCV)로 전환한다는 '탈(脫) 가솔린' 목표는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혼다는 하이브리드차(HV) 판매를 강화하는 전략을 병행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HV 세계 판매량을 현재 대비 2배 이상 늘린 220만 대로 확대하고, 2027년부터 4년간 HV 신모델 13종을 글로벌 시장에 투입할 예정이다.

수익원인 이륜차 사업 부문에서는 세계 시장 점유율을 현재 40%에서 장기적으로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혼다는 2030년까지 경쟁력을 갖춘 이륜차와 수요가 높은 HV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EV 보급 지연에 따른 손실을 만회한다는 전략이다.

미베 사장은 "EV 전환에 제동이 걸린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미래를 위한 준비와 수익성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륜차 사업을 확립하고, 이륜차 사업의 견고한 수익 창출 능력을 바탕으로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

주요기사

혼다(7267 JP), 무게중심 이동 전동의자 출시...상업시설·병원 타겟 1000대 도입 목표
소니(6758 JP) 금융자회사, 일본 첫 '부분 스핀오프' 상장...최대 1000억엔 자사주 매입 계획
일본 이시바 총리 사퇴...닛케이 4만3600엔 돌파
일본 4~6월 GDP 2.2% 성장, 폭염 특수로 개인소비 급증...7~9월은 마이너스 예상
리비안(RIVN.O), 'R2' 출시 준비 앞두고 구조조정..."정부 보조금 축소 타격"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