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미국의 관세 정책이 일본 기업들의 실적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닛케이 평균 주가에 포함된 주요 상장사 36곳이 2026년 3월까지 예상하는 관세로 인한 감익 규모는 총 2조 6000억 엔에 달하며, 이 중 약 70%가 자동차 업계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6일 전했다.
일본 경제 신문은 지난 14일까지 닛케이 평균 주가 채용 종목 중, 당기 영업이익에 대한 관세 영향을 공개한 36개사를 집계했다.
복수의 시나리오나 영향액 범위를 제시한 기업은 최대치를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 실적 전망이 불확실한 기업을 제외한 33개사의 영업이익 합계는 11조 327억 엔으로, 관세로 인한 감익 영향액은 전체 영업이익의 약 16%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자동차 업계의 피해가 막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7개 주요 자동차 회사의 감익 예상액은 총 1조 7000억 엔에 달한다. 혼다(7267 JP)는 6500억 엔의 감익을 예상하며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미베 토시히로 혼다 사장은 지난 13일 결산 설명회에서 "각국의 관세 정책이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며 "최근 들어 정책이 자주 바뀌어 전망을 세우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닛산 자동차(7201 JP)는 4500억 엔의 감익을 예상하며, 실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당기 이익 전망을 보류한 상태다. 도요타 자동차는 4~5월에만 1800억 엔의 감익 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미국이 수입차에 부과하는 25%의 추가 관세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업계 외에도 전기, 기계 등 미국 사업 비중이 높은 기업들도 관세의 영향을 받고 있다. 소니 그룹은 게임, 전자 제품,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1000억 엔의 감익을 예상했다.
각 기업은 관세 영향을 실적 예상 및 경영 전략에 반영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SMBC 닛코 증권이 도쿄 증권 거래소(TOPIX) 종목을 대상으로 실적 전망을 조사한 결과, 약 10%의 기업이 당기 실적 예상 발표를 보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TDK는 미국 관세 영향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시나리오와, 완제품 수요 감소 영향을 반영한 시나리오 두 가지를 제시했다. 관세 영향을 반영한 시나리오에서는 450억 엔의 감익이 예상된다.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실적 예상 발표를 보류하는 기업도 속출하고 있다. 파낙의 야마구치 켄지 사장은 "몇 가지 시뮬레이션을 했지만, 어느 것이 확실한지 확신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의 추가 관세 인하 합의로 세계 경기 침체 우려는 다소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불안감이 남아있다. JP모건 증권의 니시하라 사토에 씨는 "경기 침체 속도는 약해지겠지만,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미국 경기 악화가 일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관세와 소비자 심리 악화가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대중 관세 강화로 인해 미국 주요 항구의 컨테이너 수입량은 5월 2주차에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맥도날드의 1~3월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했으며, 특히 미국 내 매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도쿄 증권 거래소 프라임 상장 기업의 2026년 3월 순이익은 전기 대비 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6년 만의 감익이다. 미국의 정책 변화에 따라 일본 기업의 실적 악화가 심화될 경우, 최근 몇 년간 지속된 임금 인상 기조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