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나들이] '경제성장률'이 뭘까요? : 경제용어사전|알파경제TV

TV / 영상제작국 / 2024-09-06 23:13:11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세상의 모든 주린이들의 답답한 마음을 시원하게 풀어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나들이 #김미정아나운서 #경제용어사전 #알파경제


[경제성장률: 국가 경제의 활력 지표]

· 경제성장률(Economic Growth Rate)은 한 국가의 경제 규모가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국가의 경제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라고 할 수 있죠. 이는 주로 국내총생산(GDP)의 증가율로 측정되며, 한 나라의 경제 건강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경제성장률은 단순히 숫자로만 보면 안 되고,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높은 경제성장률이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지나치게 빠른 성장은 인플레이션이나 경제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죠. 반면, 낮은 성장률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일자리 창출이 둔화되고 생활 수준 향상이 정체될 수 있거든요. 따라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경제성장률의 역사는 근대 경제학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경제학자들은 국가의 경제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죠. 그러다 20세기 초, 국민소득 개념이 등장하면서 경제성장을 수치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34년 미국의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가 국내총생산(GDP) 개념을 개발하면서 현대적 의미의 경제성장률 측정이 가능해졌습니다.

· 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성장률은 국가 경제 정책의 핵심 지표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경제 발전을 위해 높은 성장률을 목표로 삼으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죠. 한국의 경우, 1960-70년대 연평균 10%가 넘는 고도성장을 기록하며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 경제성장률과 관련된 흥미로운 사건으로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들 수 있습니다. 1990년대 초 버블 경제 붕괴 이후 일본은 장기간 저성장에 시달렸는데, 이 기간 동안 경제성장률이 연평균 1% 미만에 그쳤죠. 이는 한때 세계 2위 경제대국이었던 일본 경제의 침체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였습니다.

· 앞으로 경제성장률의 의미와 측정 방식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단순한 경제 규모의 확대보다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 중요해지고 있거든요. 이에 따라 GDP 외에도 환경과 삶의 질을 고려한 새로운 지표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민총행복(GNH)이나 지속가능한 경제복지지수(ISEW) 같은 개념들이 주목받고 있죠. 미래에는 이런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포괄적 성장률' 개념이 더욱 중요해질 것 같아요.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현장] 재무위기 교보자산신탁, 불법 용역 동원 새벽 기습…법치 짓밟은 '무법 점거' : 알파경제TV
[현장] 이재용의 힘, 삼바 ‘일라이릴리’ 초대형 계약으로 증명되나 : 알파경제TV
기재부·금융위 쪼개고 검찰청 없앤다…李정부 조직개편안 확정 : 알파경제TV
'빗자루 폭행' 유죄에도 갑질…새마을금고 이사장 논란 : 알파경제TV
"본사가 닭 안 줘서 매출손해"…교촌치킨 일부 가맹점주 소송 예고 : 알파경제TV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