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나들이] '공공재'가 뭘까요? : 경제용어사전|알파경제TV

TV / 영상제작국 / 2024-10-09 09:20:35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하나를 알아도 깊게 알고 싶은 여러분의 지식 탐구를 향한 목마름을 채워 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공공재: 모두를 위한 자원의 미래
-개인의 이익을 넘어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한 경제적 개념

## 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 공공재(Public Goods)는 "한 개인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를 줄이지 않으며, 누구도 그 소비에서 배제될 수 없는 재화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시장 실패의 한 형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 공공재의 주요 특성으로는 비경합성(non-rivalry)과 비배제성(non-excludability)이 있습니다. 비경합성은 한 사람의 사용이 다른 사람의 사용 가능성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비배제성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사람도 그 혜택에서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 공공재의 반대 개념은 사적재(Private Goods)입니다. 사적재는 개인이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으며, 타인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이나 의류는 사적재에 해당합니다. 반면 공공재는 국방, 공공 도로, 깨끗한 공기 등이 대표적입니다.

## 공공재의 역사적 발전

· 공공재 개념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논의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미 공동체의 이익을 위한 재화의 중요성을 언급했습니다.

· 18세기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정부의 역할 중 하나로 공공재 제공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공공재'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20세기 중반입니다.

· 1954년 폴 새뮤얼슨의 논문 "공공지출의 순수이론"에서 공공재 이론이 체계화되었고, 이후 경제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 공공재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건

· "무임승차자 문제"는 공공재와 관련된 대표적인 현상입니다. 1968년 개릿 하딘이 발표한 "공유지의 비극" 논문은 이 문제를 생생하게 설명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공유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려 하면 결국 그 자원이 고갈되는 현상을 지적했죠.

· 2009년 엘리너 오스트롬이 공유 자원 관리에 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것은 공공재 이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습니다. 그녀는 지역 공동체가 자발적으로 공유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습니다.

## 공공재의 미래 전망

·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지식, 정보, 소프트웨어 등 새로운 형태의 공공재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공재 개념의 확장과 재정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 기후 변화와 같은 글로벌 이슈는 국제적 차원의 공공재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국가 간 협력과 조정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 앞으로 공공재의 효율적 제공과 관리를 위해 정부, 시장, 시민사회의 협력 모델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기술 발전을 통한 새로운 관리 방식의 도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해킹 사고 사과…"피해 전액 보상 약속" : 알파경제TV
위기의 골프존, 쏟아지는 매물…"8일부터 양수도 플랫폼 등록 의무화 갑질(?)" : 알파경제TV
롯데카드, 해킹 사고 17일 뒤 금감원 늑장 신고…"카드정보 유출 추정" : 알파경제TV
허윤홍 GS건설 대표 “청계리버뷰자이 근로자 추락사…머리 숙여 사죄” : 알파경제TV
빗썸, 또다시 전산 장애 발생…반복되는 사고에 투자자 불만 고조 : 알파경제TV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