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포스코이앤씨 노동자 감전사고와 관련해 "대통령의 휴가가 끝나고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강 대변인은 "인명 사고가 조업 개시 이후 발생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동일 사업장에서 반복되는 사고 유형에 대해 여러 번 경고와 채찍을 보낸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과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와 관련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언급하며 사업 주체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날린 바 있습니다.
포스코이앤씨에서는 올해만 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지난달 29일 사과문을 발표했음에도 엿새 뒤인 4일 또다시 미얀마 출신 노동자가 감전 추정 사고로 중태에 빠졌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대통령 휴가 후 대응이 있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시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실 브리핑 이후 당일 오후, 포스코이앤씨는 '인명사고 재발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습니다.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은 "반복된 사고에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며 모든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정희민 사장의 사임에도 불구하고 잇따른 사고에 대한 법적, 도덕적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업 최고 책임자로서 안전 보건 조치에 소홀했기에 중대재해처벌법 등 형사처벌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노동계 일각에서는 이번 반복적인 산재가 포스코이앤씨뿐 아니라 포스코그룹 전반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고질적인 문제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단순한 안전관리 실패가 아닌, 회사 경영 전반에 노동자 안전에 대한 인식 부족과 안전관리 시스템 미흡이 초래한 총체적인 문제라는 지적입니다.
정희민 사장의 사임은 위기 모면을 위한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아 보이며, 대통령실의 칼날이 포스코그룹 전체를 겨냥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포스코 역시 지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총 8명의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상부 배관 철거 작업 중 근로자가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해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강제 수사에 나섰습니다. 포스코는 계약직 근로자의 사망 비율이 높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는 고착화된 시스템적 안전관리 미비와 책임 회피 구조가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포스코이앤씨에서 촉발된 산업재해가 포스코그룹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에 대해 예의주시하는 분위기입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