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한미 관세 협상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가운데, 우리 정부가 '군산항에 미 해군 MRO(유지·보수·운영) 기지 건설'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요청에 따라 군산항에 구축함, 순양함, 잠수함 등 미 해군 함정의 수리 및 정비가 가능한 MRO 전용 기지 조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가 서해에 미 해군 MRO 기지 조성이 가능한 항구를 요구했으며, 최종적으로 군산이 낙점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은 조선업 재건을 위해 한국과의 협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한미 간 군함 MRO 협력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 군함 3척에 대한 MRO 사업을 잇달아 수주한 바 있습니다. 현재 미 상·하원은 전투함 및 지원함 건조에 투입할 국방 예산 200억 달러의 세부 집행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
미국이 서해에 미 해군 MRO 기지 조성을 요청한 배경에는 중국의 군사적 부상을 견제하고, 동남국해로 이어지는 해상 루트를 차단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미중 간 해양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군산항에 미 해군 MRO 기지 건설을 관세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군산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에 특수목적선 및 정비산업(MRO) 육성, 중소 조선사 지원 강화 등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북도와 군산시가 추진 중인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조성 사업'과 연계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다만, 군산항에 미 해군 MRO 기지 건설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의 거센 반발이 예상됩니다. 강관우 전 모건스탠리 이사는 "군산에 미 해군용 MRO 기지가 들어서는 것은 HD현대 등이 선체만 수리·건조하고, 무기체계나 운용 시스템 등 군사 기밀은 미국 측이 직접 운용하는 구조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덧붙여 "이러한 이원화 구조는 미 해군 함정 정비와 건조를 더욱 신속하고 대량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