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잇따른 노동자 사망사고에 대해 강도 높은 질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솔제지는 최근 대전 신탄진공장에서 발생한 노동자 추락 사망사고와 관련해 고용노동부와 경찰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16일, 신입 직원인 30대 근로자 A씨가 폐지 투입구에 추락하여 실종되었고, 다음 날 새벽 기계 내부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사고 발생에도 불구하고 한솔제지는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과 노동부는 전날 한솔제지 대전공장과 신탄진공장,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으며, 안전 조치 이행 여부와 근로자 사고 발생 사실을 늦게 인지한 경위를 집중적으로 조사 중입니다.
문제는 한솔제지의 노동자 사망사고가 과거부터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2019년에는 장항공장에서 계열사 소속 20대 노동자가 기계에 끼어 숨졌고, 2022년에는 신탄진공장에서 50대 노동자가 활성탄 더미에 깔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당시 한솔제지는 노동환경 개선과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말뿐인 대책에 불과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한솔제지는 이번 노동자 사망사고 후 "안전관리 체계를 전면 개선해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노동계는 단순한 입장 표명만으로는 책임 회피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산재 대응 기조가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만큼, 사고가 발생한 한솔제지에 대한 강력한 조사와 징벌적 처벌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 또한 최근 잇따른 산재 사고에 우려를 표하며 기업들에 대한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산재 사망사고를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실제로 SPC와 포스코이앤씨는 대통령의 공개 경고 이후 각각 사과문을 발표하고 안전 개선책과 전사적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솔제지 역시 이번 사고에 앞서 근로자 사망사고가 수차례 발생한 만큼 이번 사안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