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미·중 관세 '빅딜' 성사, 지나친 낙관론 경계

인사이드 / 박남숙 기자 / 2025-05-14 07:00:33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미국과 중국이 90일 간 징벌적 관세 인하에 합의했다.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 관세 30%로 인하,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 관세 10%로 인하했고 중국은 4월 2일 이후 미국에 부과한 비관세 보복조치 중단 또는 취소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보다 낮아진 관세율로 미중 관세 합의는 당초 트럼프 언급했던 관세율 80% 혹은 후보 시절 공약 60% 관세를 하회하는 서프라이즈 성격이란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중국과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는다며 온건적 메시지를 제시했고환율 협정은 이번 합의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중 양측이 전격적으로 관세협상 빅딜 합의에 이른 배경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고율 관세 정책 지속 시 양국 경제에 치명타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 셀(Sell) USA에서 바이(Buy) USA로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구체적인 협상과정은 더 지켜봐야 하지만 이번 협상 결과가 미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다"며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에서 벗어날 수 있고 90일 유예기간 동안 미국 기업들의 추가 재고확충을 위한 수입과 생산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소비 역시 고용시장이 크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했던 소비 둔화 현상을 당분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최소한 2분기 혹은 3분기까지 미국 경제가 역성장을 피하는 것은 물론 단기 회복 모멘텀을 기대볼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박상현 연구원은 "이러한 흐름은 상호관세로 인해 촉발된 셀 USA 현상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바이(Buy) 현상을 강화시킬 공산이 크다"며 "상호관세발 경기침체 우려로 글로벌 자금이 미국에서 이탈했지만 미-중 관세전쟁 휴전으로 자금이 다시 미국으로 유입될 여지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미국 경제 및 금융시장의 예외주의 현상이 재차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중 관세협상을 위시해 여타 주요국과의 관세 협상이 여전히 변수로 작용하는 가운데 금융시장이 또 하는 주목할 것은 미국 국채금리로 꼽힌다.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재차 강화되면서 국채 금리가 추가 상승할 여지가 있음은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박 연구원은 "또한 관세 협상 등으로 물가 리스크가 완화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미 연준도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출처=IM증권)

 

◇ 6월 중하순 경계감 가질 시기, 지나친 낙관론 경계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미중 합의는 트럼프의 1기 때와 패턴이 거의 완벽하게 일치한다"며 "낙관론이 시장을 지배할 때까지 좀 더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가격 측면에서 보면, 트럼프 1기 때는 증시가 전고점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긍정적 뉴스가 계속됐다는 분석이다.

 

이은택 연구원은 "시기적으로 정상회의 스케줄을 주목해야 한다"며 "G7과 NATO 정상회의가 있는 6월 중하순이 경계감을 가질만한 시기"라고 조언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며 "미중 관세 합의에도 여전히 실효관세율 10%대 초반 유지하고 있어 미국 인플레이션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 

 

통상적으로 10%의 실효관세율은 인플레이션을 1%p 가량 높일수 있고 선제적 통화정책 가능성 제약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세 부과에 따른 매크로 영향은 선수요 효과 소멸, 재고 소진 이후 본격화될 수 있고 해당 시기는 2분기 말에서 3분기 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 반응과 달리 매크로 관점에서 관세에 따른 영향 뒤늦게 나타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노동길 연구원은 "이번 관세 논의는 베스트 시나리오(Best Scenario) 가능성 반영에 따라 주식시장이 회복세를 이어가겠으나 과도한 반응 시 악재에 민감해 질 수 있음에 동시 유의해야 한다"며 "악재는 향후 대중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라고 진단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정부 조직 개편안,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MB 시즌2 우려
[현장] 영풍 “고려아연 경영진, SM 시세조종 사건 연루 의혹 증거 제시” 수사 촉구
[공시분석] 알테오젠 주가, 올해 55.83% 달성…”코스피 이전 주가 더 오른다”
[현장] SKT 해킹에 1347억 과징금 폭탄, KT·LGU+는 자진신고 거부하고 되레 공포 마케팅?
[현장] 포스코, HMM 인수 검토 착수…자문단 꾸려 사업성 분석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