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은 13일 신임 금융감독원장으로 이찬진 제일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를 임명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 확대와 시장 질서 훼손 행위에 대한 무관용 원칙 적용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 원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모험자본 공급 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중소·벤처기업에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주가조작이나 독점지위 남용 등 시장 질서와 공정을 훼손하는 행위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중차대한 시기에 중책을 맡은 것에 책임의 무게를 느낀다"며 "금융 산업이 국가 경제의 대전환을 지원하는 동시에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소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상생지수는 금융권이 중소기업과 어느 정도 상생·협력하는지를 수치로 계량화하는 지표다. 중소기업계에서 도입을 건의해왔으며, 여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도 최근 금융권의 국정과제 참여 유도를 위해 상생지수 도입을 제언한 바 있다.
이 원장은 "기업이 성장 자금을 시장에서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금융 역시 혁신 흐름에 동참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활용 및 디지털 자산 생태계 육성 등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과 관련해서는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해 대주주와 일반주주 모두의 권익이 공평하게 존중받을 수 있는 질서를 잡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난 정부 아래 부동산 PF대출이 부실화됐다"며 "PF 잔존 부실을 조속히 정리해 주택·건설 금융을 정상화하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가계부채 관리에 대해서는 "부채와 주택가격 사이에 악순환 고리를 끊어내겠다"며 가계부채 총량 관리 방침을 이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1964년생인 이 신임 원장은 홍익대 사대부고와 서울대 법대 사법학과를 졸업한 뒤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사법연수원 18기로 이재명 대통령과 동기이며 노동법학회에서 함께 활동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부회장과 참여연대 집행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최근까지 이 대통령의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사건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서 변호를 맡았다.
금감원장 자리는 이복현 전 원장이 지난 6월 퇴임한 이후 두 달여간 공석이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13일 임시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이 변호사를 임명 제청했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sta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