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국내 최대 규모의 항만 재개발 사업인 부산항 북항 재개발 사업이 각종 비리로 얼룩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시행사와 시공사 선정 과정부터 인허가 변경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부산지방검찰청은 부산항만공사(BPA) 전 간부 A씨와 롯데건설 임원 B씨를 포함해 총 15명을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중 6명은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검찰 조사 결과, A씨는 8000억원대 재개발 사업 발주 과정에서 브로커의 청탁을 받고 공모지침서 초안과 평가 기준 등 입찰 관련 내부 정보를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시행사 대표 C씨는 11억 원의 뇌물을 제공하고 내부 정보를 받아 '생활 숙박시설 건축 계획'을 숨긴 채 '특급호텔 사업 계획'을 준비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BPA가 호텔 제안 업체에 높은 점수를 주기로 한 점을 사전에 파악한 후, A씨는 사업 계획 평가 직전 평가위원 후보군을 유출하고 시행사가 추천한 6명 중 5명을 실제 평가위원으로 선정되도록 했습니다. 이들은 해당 시행사 컨소시엄에 최고점을 부여하여 'D-3 블록' 사업권을 낙찰받게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컨소시엄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2019년 특급호텔 사업 계획과는 다른 생활 숙박시설 건축 허가를 부산시에 신청했습니다. 부산시가 BPA에 의견을 묻자, A씨는 허위로 회신해 2020년 생활 숙박시설 건축 허가를 받도록 도운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이 참여한 컨소시엄은 생활 숙박시설 분양으로 8235억원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A씨는 용역 계약을 통해 11억 원을 받았고, 브로커는 150억 원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은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이 '중복 입찰'을 한 혐의도 포착했습니다. BPA는 공정성을 위해 건설사별 1개 구역 입찰 원칙을 적용했지만,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은 D-3 구역 입찰에서 효성이 낙찰되면 롯데건설이 공사를 맡는 방식으로 담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23년 초 북항재개발 D-3 구역 담합 의혹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 담당자들의 "또 같이 가죠" 등 녹취파일을 입수하고 사전에 미리 짠 정황을 파악한 바 있습니다. 롯데건설 임원 B씨는 업무방해 혐의로 구속 기소됐으며, 현재 D-3 구역에는 '롯데캐슬 드메르'가 오는 9월 완공될 예정입니다. 해당 시설은 지상 59층, 1221실 규모로 오피스텔 전환이 추진 중입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