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올해 부자들 "부동산보다 금융상품 투자"

인사이드 / 김혜실 기자 / 2025-04-17 05:05:47
하나금융연구소,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 발간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올해 부자들 대부분이 실물 경기와 부동산 경기 모두를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이에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에도 소극적인 모습이었으며, 조정 의향이 있는 경우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는 비중이 높았다.

17일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의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들의 자산관리 방식과 40대 이하 부자인 영리치의 자산관리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골드바.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 "부동산 줄이고 금융자산 늘릴 것"

우선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들의 75%가 올해 실물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64%가 부동산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어두운 경기전망에 따라 이들의 65.7%가 대체로 현재와 동일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유지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정 의향이 있는 경우 부동산자산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사진=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 제공)

실제 최근 이들의 금융자산 비중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총자산 중 금융자산 비중은 2023년 46%에서 2024년 49%로 증가해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부동산 매수의향은 44%로 전년 50% 대비 하락했고, 매도 의향은 34%로 전년 31% 대비 소폭 상승했다. 

이는 시장의 불안이 해소될 때까지 다음 기회를 탐색하거나, 부동산보다 금융을 활용해 자산을 운용하려는 의향이 높았던 만큼 금융 투자를 다양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하나금융연구소는 "그동안 금융보다 부동산 투자를 우선 고려하고, 부동산을 활용한 부의 증식에 익숙한 부자들이 2025년에는 달라진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

◇ 불황형 투자, 안전자산 금·채권·ETF에 분산 투자

예금(40.4%)을 제외하고 2025년 투자의향이 가장 높은 자산은 불황형 상품의 대표 격인 금(32.2%)으로 집계됐다.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안전자산인 금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으로 금리 인하 시 가격이 상승하는 채권(32.0%) 투자 수요가 높았는데, 아직 채권 투자를 하고 있지 않은 부자들도 새롭게 투자를 시작할 것이라는 응답이 타 상품 대비 높은 특징을 보였다. 

직접 투자하되 지수를 추종함으로써 좀 더 안정적으로 수익을 관리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29.2%로 선호가 높았고 주식(29.0%)을 통한 직접투자 의향도 그 뒤를 이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2025년 투자의향이 높은 상품은 그 선호 정도가 매우 유사하고 안정형/저위험 투자상품들로 고루 분포됐으며, 이는 대내외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분산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생각으로 읽혀진다"고 분석했다.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

◇ 영리치 중심으로 코인 투자규모 확대...올해도 투자 지속

투자자산으로서 가상자산에 대한 인식을 확인했을 때, 자산규모나 연령과 무관하게 가상자산의 ‘위험성’에는 대다수가 동의했다. 하지만 부자는 가상자산의 성장 가능성을 일반대중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금융자산 1억원 이상을 보유한 대중부유층 및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가상자산을 보유한 비중은 최근 3년간 연평균 15%씩 증가했다. 

2024년 기준 부유층의 3분의 1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상자산 투자자의 34%는 4종 이상 코인을 보유해 과거보다 보유 코인 수가 늘었고, 목돈을 한번에 투자하기보다 수시로 매입하는 경향도 높아졌다. 또한 가상자산에 1000만원 이상을 투자하는 부유층의 비율이 70%를 넘었고, 평균 투자액은 과거 투자자보다 2배 이상 많아졌다.

현재 가상자산 투자자 10명 중 5~6명은 올해도 투자를 계속할 의향을 보였고 3명은 중도적 입장, 투자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1명에 불과했다. 가상자산에 투자하거나 관심을 갖는 이유는 ‘수익률’이 절대적이지만 투자 접근성이나, 우호적 환경 등 성장 가능성 등의 요인이 증가해 가상자산 투자를 새로운 투자영역으로서 진지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윤선영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부자가 가상자산의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는 것은 곧 해당 영역의 성숙을 의미하지만, 여전히 제도적 안전망이 미흡하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아 가상자산의 호불호는 명확히 갈렸다"라며 "다만 부자는 투자 전에 충분히 공부하고, 잘 아는 영역에 투자하는 경향이 크다"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현장] 엔씨소프트, ‘분 단위’로 PC 사용 근태 관리 논란…법적 문제 없나?
[분석] 정부 조직 개편안,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MB 시즌2 우려
[현장] 영풍 “고려아연 경영진, SM 시세조종 사건 연루 의혹 증거 제시” 수사 촉구
[공시분석] 알테오젠 주가, 올해 55.83% 달성…”코스피 이전 주가 더 오른다”
[현장] SKT 해킹에 1347억 과징금 폭탄, KT·LGU+는 자진신고 거부하고 되레 공포 마케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