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4월 29일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 아파트 신축 공사장에서 지하 주차장 1∼2층의 지붕 구조물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GS건설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는 설계와 시공, 감리까지 총체적 부실의 결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인천 검단 아파트 건설현장의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와 관련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의 사고조사 결과와 사고 현장 특별점검 결과를 5일 공개했다.
건설사고조사위원회는 사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설계·감리·시공 등 부실로 인한 전단보강근의 미설치, 붕괴구간 콘크리트 강도부족 등 품질관리 미흡, 공사과정에서 추가되는 하중을 적게 고려한 것을 주요 사고원인으로 지목했다.
조사에 따르면 설계 단계에서는 붕괴가 발생한 지하주차장 슬래브 인근의 도면을 분석한 결과, 구조설계 상 모든 기둥(32개소)에 전단보강근이 필요한데, 기둥 15개소가 전단보강근 미적용 기둥으로 표기됐다.
감리 단계에서도 철근작업상세도 작성(시공사) 후 도면의 확인·승인하는 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시공 단계에서는 32개소 중 붕괴된 위치 등 확인이 불가한 기둥을 제외하고 8개소 조사 결과 4개소에서 설계와 다르게 전단보강근을 누락했다.
여기에 사고 부위의 콘크리트 강도도 부족했다. 사고 부위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을 한 결과 설계 기준 강도(24MPa)보다 30% 낮은 16.9MPa로 측정됐다.
지하주차장 위로 식재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설계값(높이 1.1m) 보다 많은 토사가 적재(최대 2.1m)됐지만, 추가 하중에 대한 검토도 미흡했다.
홍건호 사고조사위원장(호서대 교수)은 "전단보강근이 누락돼 저항력이 약해진 상황에서 초과 하중이 부가되고, 거기에 콘크리트 강도까지 부족해 붕괴가 발생했다"라며 "전단보강근이 모두 있었다면 붕괴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고조사위는 재발 방지 대책으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적용된 무량판 구조의 심의 절차를 강화하고, 현장 콘크리트 양생 품질 개선을 제안했다.
국토부는 GS건설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 이후 GS건설의 83개 현장에 대한 확인점검을 추진 중이다.
GS건설에 대한 처분은 8월 중순 발표될 예정이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