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워스트 시나리오로 흐르는 관세 갈등, 환율 전쟁 가시화

인사이드 / 박남숙 기자 / 2025-04-10 07:00:41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4월 이후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워스트(Worst) 시나리오로 전개되면서 9일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개장 후 1487원까지 빠르게 상승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상호관세 충격이 진정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안화 가치의 급락 현상이 원화 가치에 부담을 줄 공산이 높다"며 "원화 가치가 달러 약세에 동조화되기 보다 위안화 가치에 동조화되는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고 파악했다.

 

미국과 중국의 환율전쟁 양상이 더욱 격화되면서 위안화 가치가 추가 약세, 즉 달러위안 환율이 추가 상승한다면 달러 대비 원 환율은 1500원 수준에 육박하는 흐름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약달러에도 위안화 통화 약세 지속


트럼프 행정부가 예상치 못한 고율 상호관세의 부메랑을 맞고 있음도 부인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상호관세의 부메랑에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은 것은 주식시장 등 금융시장이며, 국채 금리 또한 상승하고 있다.

 

IM증권에 따르면,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 이후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한때 3.99% 수준까지 하락했지만 상호관세발 물가 우려가 제기되면서 재차 4.29%까지 반등했다.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 당시 수준인 4.13%보다 10년 국채 금리 수준이 높아진 것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관세정책 및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정부효율화 정책 등이 궁극적으로 미국 국채 금리 하향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채 금리 상승은 자칫 정책 실패 가능성을 시사하는 시그널일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무엇보다 중국이 트럼프 1기 당시와 달리 협상을 통해 미-중 갈등 해소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오히려 협상보다는 상호관세 정책에 강력한 맞대응하는 모습이 강화되고 있고 이러한 분위기가 위안화의 약세로 현실화되고 있다. 

 

박상현 연구원은 "중국입장에서 고율 상호관세에 맞서 가장 효과적인 방어수단인 통화가치 하락을 들고 나오고 있는 것"이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용납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미-중 갈등이 더욱 격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파악했다. 

 

시장의 예상을 상회한 상호관세율이 금융시장의 혼란을 촉발한 가운데 우려했던 상호관세 후폭풍 혹은 부메랑이 가시화되고 있어 글로벌 주식시장 등 금융시장이 조기에 안정을 찾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박 연구원은 "향후 국가별 관세 개별협상 진척과 더불어 환율전쟁으로까지 비화될 조짐을 보이는 미-중간 갈등 봉합 여부가 금융시장 안정에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출처=IM증권)

 

◇ 환율 안정 선결 조건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환율 안정 선결조건으로 위안화 추가 절하 여부를 꼽았다.

 

중국은 2023년 이후 달러 대비 위안 7.2~7.30을 상회하는 위안화 약세 시기 시장 환율 대비 고시환율을 낮춰 고시하며 위안화 약세를 방어하고 있다.

 

내수부양 기조를 고려하면 디플레이션 하 가파른 위안화 약세는 오히려 당국에 부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8일 고시환율은 7.2038위안으로 2023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당장은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추가 위안화 약세 용인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분석이다.

 

두번째는 내국인 해외투자 확대 여부다.

 

2월 내국인 해외 증권투자는 132억 달러를 기록해 1월에 이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내 정치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2월 말 1430원까지 환율이 하락하며 신규 해외투자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미중 갈등이 고조되며 4월 이후 외국인은 주식 순매도를 지속하고 있다. 

 

권아민 연구원은 "우리나라 경상 흑자에도 불구 금융계정 내 달러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국민연금 환헤지 물량 출회 및 당국 실개입 여부도 중요하다.


권 연구원은 "2분기 환율 전망 상단인 1500원 돌파 경계감 속 현 레벨에서는 당국의 실개입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정부 조직 개편안,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MB 시즌2 우려
[현장] 영풍 “고려아연 경영진, SM 시세조종 사건 연루 의혹 증거 제시” 수사 촉구
[공시분석] 알테오젠 주가, 올해 55.83% 달성…”코스피 이전 주가 더 오른다”
[현장] SKT 해킹에 1347억 과징금 폭탄, KT·LGU+는 자진신고 거부하고 되레 공포 마케팅?
[현장] 포스코, HMM 인수 검토 착수…자문단 꾸려 사업성 분석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