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수협은행이 7년 전 발생한 15억원대 부동산 대출 사기 사건을 최근에야 공시하여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해당 영업점이 지난해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을 받고도 10개월 가까이 본점에 보고조차 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 내부통제 시스템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수협은행은 지난 22일,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15억 2천만 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 중 실제 손실로 처리될 금액은 약 12억 5천만 원으로, 사고 금액의 82.4%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고는 2017년 10월 30일부터 2018년 6월 22일까지 약 8개월에 걸쳐 발생했습니다. 대출 고객이 부동산 감정가격과 매매가격을 부풀려 과다 대출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수협은행은 담보물 매각을 통해서도 대출 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이며, 해당 대출자에 대해 형사 고소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7년 만의 '늑장 공시'는 해당 영업점의 '보고 지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해당 영업점은 지난해 9월 압수수색에도 불구하고 이 사실을 본점에 알리지 않았습니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영업점에서 압수수색 사실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해 본점 보고가 지연됐다"며 "사고를 인지한 즉시 금감원에 보고하고 공시 기한 내에 발표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