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금융위원회 산하 감리위원회가 오늘(24일) SK에코플랜트의 분식회계 의혹에 대한 최종 제재 수위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금융감독원이 '고의적 분식회계'로 결론 내린 이번 사안에 대해 검찰 고발과 임원 해임 등 중징계가 확정될 경우, SK에코플랜트가 추진해온 기업공개(IPO) 계획은 사실상 무산될 위기에 놓일 것으로 보입니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약 1조원 규모의 프리IPO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2026년까지 상장을 완료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자회사의 매출 부풀리기 의혹이 불거지면서 이 약속을 지키기 어려워진 상황입니다. 특히 이번 사건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대기업 계열사 회계부정 사건이라는 정치적 상징성까지 더해져 금융당국의 강력한 제재 의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감리위원회는 이날 재심의를 통해 SK에코플랜트 회계 위반 사안의 최종 제재안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핵심 쟁점은 위반 동기가 '고의'인지 여부입니다. 회계처리 위반 동기는 '고의', '중과실', '과실'로 구분되며, '고의'로 판정될 경우 형사 고발과 임원 해임 등 최고 수위의 제재가 뒤따르게 됩니다.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2022~2023년 회계연도 동안 미국 자회사인 'SK에코플랜트 아메리카스'의 매출을 의도적으로 과대 계상해 연결재무제표를 허위로 작성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검찰 고발, 전 대표이사 해임 권고, 수십억원 규모의 과징금 부과 등을 포함한 중징계안을 감리위에 제출했습니다.
반면 SK에코플랜트 측은 "미국 자회사가 신규 사업에 대해 회계법인 검토를 받아 진행한 회계처리"라며 "IPO와 관련이 없다는 점을 성실히 소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회사는 이번 회계처리가 고의적 조작이 아닌 전문가 간 견해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제재 수위에 따른 파급효과는 극명하게 갈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의' 판정 시 검찰 수사와 임원 해임으로 IPO가 사실상 무산되지만, '중과실'이나 '과실'로 완화될 경우 재무제표 정정 후 상장 재추진이 가능합니다.
문제가 된 SK에코플랜트 아메리카스는 연료전지 사업을 영위하는 SK에코플랜트의 핵심 자회사입니다.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IPO를 앞두고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 자회사의 실적을 조작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분식회계에 대한 제재를 대폭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사건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대기업 계열사 회계부정 사건이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큽니다.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향후 재벌 회계 감리의 기준점을 세우는 시금석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아 강력한 제재 의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징계가 확정될 경우 SK에코플랜트의 상장 계획은 전면 재검토가 불가피합니다. 상장이 무산될 경우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은 1조원 규모의 프리IPO 투자자들입니다. SK에코플랜트의 재무 상황도 녹록지 않아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경우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