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두산그룹의 야심찬 사업 재편 계획이 최근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주가 하락으로 인해 큰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주요 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 급락은 그룹의 합병 추진 과정에서 재정적 리스크를 높이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10일 공시를 통해 12일로 예정됐던 분할합병 관련 임시 주주총회를 철회한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날, 두산로보틱스 역시 임시 주주총회 소집을 취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두산 관계자는 “사업구조 개편과 관련해 추후 진행 여부는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전했습니다. 당초 두산은 두산에너빌리티를 사업회사와 신설법인으로 분할한 뒤, 이 신설법인을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었습니다.
이는 원자력 발전 등 기존 산업과 협동로봇 및 인공지능(AI) 같은 미래 성장 동력을 동시에 육성하려는 전략의 일환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정치 상황 변화로 윤석열 정부의 친원전 정책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주요 원전 관련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는 크게 하락했습니다. 10일 기준 종가는 1만7150원으로, 비상계엄 선포 직전인 3일 종가(2만1150원) 대비 약 18.9% 떨어졌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강행했다면 많은 주주들이 합병에 반대하고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두산 측이 제시한 매수 예정가액인 2만890원이 현재 시장 가격보다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두산 내부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 늘어나면 재정적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으며, 합병을 강행할 경우 회사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7월에도 두산그룹은 일부 주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업재편을 추진했지만 결국 무위로 돌아간 바 있습니다. 이번에도 유사한 결과를 맞으면서 신성장동력 전략 재수립이 필요해 보입니다.
박상현 두산에너빌리티 대표이사는 이날 발표한 주주서한에서 "현 상황은 매우 갑작스럽고 돌발적으로 발생한 문제라 당장의 대안 마련은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추가 투자 자금 확보 방안과 이를 통한 성장 가속화를 위해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