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노조, 민주노총 새벽배송 금지 추진에 "탈퇴 보복" 반발

인더스트리 / 김영택 기자 / 2025-11-07 13:34:47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쿠팡의 직고용 배송기사로 구성된 쿠팡친구 노동조합(쿠팡노조)이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에 대해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쿠팡노조는 7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현재 논의되고 있는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쿠팡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노조는 "조합원의 일자리를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주장을 노동조합이 한다는 것 자체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다수의 야간 배송 기사들이 반대하는 상황에서 민주노총만이 이를 고수하는 것은, 그들 내부의 야간 배송 기사 비율이 극히 낮아 다른 조합원의 생계와는 무관하다는 태도로 비춰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쿠팡노조는 지난 2023년 정치적 활동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에 따라 조합원 93%의 찬성으로 민주노총을 탈퇴한 바 있다.

당시 노조는 "정치적 활동 강요를 더 이상 견딜 수 없었다"며 "조합원 권익보다 산별노조의 여러 활동 참여 요구가 잦았고, 조합비 납부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조합원의 이익을 침해했다"고 탈퇴 이유를 설명했다.

또한 쿠팡노조는 전날 택배 노동자인 김슬기 전국비노조택배연합 대표가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장에서 '당사자가 아니다'라는 이유로 퇴장당한 사건에 대해서도 민주노총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후문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쿠팡노조는 정부에 쿠팡노조의 사회적 대화기구 참여를 즉시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 5일, 택배업계에 따르면 김슬기 대표는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 참석했으나,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종사자' 자격으로 참여한 반면 김 대표는 노조 소속이 아니라는 이유로 회의에서 배제됐다.

전국비노조택배연합에는 현재 약 6천여 명의 택배기사가 가입해 활동 중이다.

쿠팡노조는 "택배 기사들의 생존권이 달린 중대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당사자인 쿠팡노조와 전국비노조택배연합이 배제된 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시작된 논의가 오히려 약자를 배제하고 그들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현실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엔씨소프트-엔비디아, ‘지스타 2025’에서 GPU 협력 강화
휴메딕스, '엘라비에 러시아 아카데미' 개최...러시아 진출 본격화
티웨이항공, 2026년 하계 스케줄 오픈 기념 초특가 프로모션 실시
놀유니버스, 공연 전문 토크쇼 '월요라이브' 시즌5 첫방송 예고
HMM 본사 유치 경제 효과, 과장 논란으로 신뢰도 저하까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