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보험·증권사 지점 5년 동안 25% 폐점

파이낸스 / 김혜실 기자 / 2025-10-21 10:33:46
저축은행 지점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지난 5년 동안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으면서 금융소비자 접근성이 낮아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4대 시중은행 (KB국민·신 ·하나·우리)은 2688개의 지점을 운영 중이며,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5년6개월 사이에 937개 지점을 폐쇄해 약 26%가 감소했다.

 

같은 기간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20%인 484곳의 문을 닫았고,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점 중 36%인 233개를 폐점했다. 

 

허 의원은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으나, 점포 축소 속도가 과도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은행의 경우 은행연합회가 2021년 3월 '점포폐쇄 공동절차'를 강화했음에도 지점 폐쇄 추세는 지속됐다. 

 

특히 2023년 국회 국정감사 지적 이후 금융당국이 '점포폐쇄 내실화 방안'을 시행하면서 한 때 폐점이 감소세를 보였으나, 올해 9월 기준 다시 103곳이 문을 닫으며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폐점 추세는 은행별로도 큰 차이를 보였다. 2023년 이후 하나은행은 1곳만 줄어든 반면, KB국민은행 98곳, 신한은행 86곳, 우리은행 71곳이 폐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지역의 폐점이 두드러졌다. 최근 5년간 폐쇄된 전국 937개 지점 중 629곳(67%)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됐다.

 

수도권 내에서는 양극화가 뚜렷했다. 현재 4대 시중은행의 서울 지점은 1045곳으로 이 중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에 329곳이 몰려 전체의 31.5%를 차지했다. 서울의 은행지점 3곳 중 1곳이 강남 3구에 있는 셈이다. 

 

허 의원은 "지난 5년간 91조원의 막대한 이익을 낸 은행권은 수익성뿐 아니라 금융서비스의 공공성에 대한 책임을 무겁게 인식해야 한다"며 "보험사와 증권사 등 모든 금융권이 지역과 계층을 아우르는 포용적 금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삼성생명 회계 논란, 국제 기준 해석기구(IFRS IC) 조사 착수…이르면 11월 결과 발표
'법인에게 열리는 가상자산 투자시대' 출간...기업의 투자·사업 전략 지침서 호평
[마감] 코스피, 3900 문턱서 차익매물 출회…5일 연속 최고가
삼성증권, 중개형 ISA 잔고 6조원·고객 130만명 돌파
카카오뱅크, '증권사 절세계좌 비교 서비스'...ISA·IRP 혜택 한눈에 비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