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시행 전 서울 아파트 단지 거주자의 평균 주택담보대출액이 평균 3억 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R114 리서치랩의 분석에 따르면,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주택담보대출 약정액은 지난 5월 말 기준 2억9557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1월 평균 2억8632만 원에서 1천만 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강남·서초·용산구 등 규제지역은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 규제의 문턱에도 서울 평균보다 최대 2억 원가량 많은 주담대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별로 강남구 아파트의 대출 평균이 4억8362만원으로 25개 자치구 가운데 최고였다. 이는 주담대 금액이 가장 낮은 금천구의 1억8174만원의 약 2.7배 수준이다.
강남3구와 용산구는 규제지역으로 묶여 LTV 50%, DTI 40%로 제한되지만 상대적으로 집값이 높아 대출액도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대출 상환 능력으로 볼 수 있는 소득 수준도 차이를 보였다. 강남구와 용산구 거주자의 평균 연 소득은 각각 1억5464만원으로, 서울 최고 수준이었다.
이는 서울 아파트 거주자의 평균 소득인 9475만 원 대비 6000만 원 가까이 높다. 서초구의 연 소득도 1억4953만원으로 상위권을 기록했다.
주목할 점은 이번 조사 기준일이 6·27대책 이전인 5월인데도 자치구별 평균 주담대 평균이 6억 원이 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는 점이다.
정부가 이번 6·27 대책에서 설정한 주담대 한도 6억 원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수도권에서 주담대 상한을 6억원으로 일괄 제한했지만, 실제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대출액은 한도보다 낮은 것이란 분석이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