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최근 해외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케이블 단절 사고에 대응하여 일본 정부는 국제 해저 케이블의 상륙 거점을 분산해 통신 분야의 안전성을 높이려고 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3일 전했다.
기존의 지바현, 이바라키현, 미에현 외 다른 지역에도 거점을 두어 통신망을 강화할 계획이다.
일본은 국제 통신의 99%를 해저 케이블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중요한 상륙 거점은 수도권 근처에 집중되어 있어 자연재해나 공격 시 큰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 전송량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통신망 안전성 강화는 필수적이다.
일본 총무성은 일본과 미국 및 아시아 각국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 상륙 거점을 지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이는 여러 통신회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로 진행되며, 홋카이도와 규슈 등지로의 분산이 목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인프라 정비 기금에서 100억 엔을 지원할 계획이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여러 케이블이 손상되면서 완전 복구까지 반년 이상 소요된 사례처럼, 대규모 단절 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러시아의 관여가 의심되는 사건들도 발생하고 있다.
게이오대 츠치야 다이요 교수는 "통신 속도가 우선시되던 시기에는 상륙 거점이 대도시에 집중됐으나, 앞으로는 물리적 파괴를 고려한 분산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보 측면 외에도 도시 중심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센터 건설에 대한 우려가 크다.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며 도심 전력 수급에 부담을 준다. 이에 따라 총무성과 경제산업성은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데이터센터와 발전소 일체화 계획을 검토 중이다.
해저 케이블 상륙 거점 분산은 AI 및 반도체 산업 등의 지역 집적과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또한 수도 직하형 지진 등에 대한 대응책으로서도 중요하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