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백종원 더본코리아 ‘구조적 한계’...경찰 수사만 14건·투자자 손실 99.5%

피플 / 차혜영 기자 / 2025-05-25 10:01:18
상장 반년 만에 각종 의혹 불거지며 주가 급락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프랜차이즈 기업 더본코리아가 창업자 겸 대표인 백종원 씨를 둘러싼 잇따른 논란으로 주가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상장 반년 만에 투자자 대부분이 손실을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네이버페이 '내자산 서비스'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투자자 5846명의 평균 매수 단가는 3만7513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거래일 종가인 2만7100원 기준으로 투자자들의 평균 손실률은 27.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H투자증권 자료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주식 보유자 1만6640명 중 99.5%가 손실을 보고 있으며, 평균 손실률은 25.38%로 집계됐다. 이는 투자금의 상당 부분이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11월 6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공모가 3만4000원의 두 배에 가까운 6만4500원까지 오르며 침체된 IPO 시장에서 주목을 받았다.

백종원 대표가 출연한 넷플릭스 요리 경연 프로그램 '흑백요리사'의 흥행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그러나 ▲'빽햄' 가격 논란 ▲감귤 맥주 함량 논란 ▲식료품 원산지 표기 논란 ▲농지법 위반 의혹 ▲액화석유가스(LPG) 안전관리 문제 ▲임직원 성희롱 면접 논란 등 여러 논란이 연이어 불거지면서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사진=네이버증권)

올해 들어 공모가를 회복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상장 첫날 기록했던 고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백종원 대표는 상장 당시 "미디어에 수년간 노출돼도 아무 문제 없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지만, 그의 개인 브랜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결국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 더본코리아는 지난 5월 12일 기준 백종원 대표와 더본코리아 법인에 대해 경찰이 수사 중인 사건은 총 14건이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주요기사

류재철 LG전자 사장 “中 경쟁 위협 속…고객 이해도 높여 차별화 전략 수립할 것”
김건희특검, '이배용 매관매직' 의혹 국가교육위원회 압수수색
최태원 "기업 규모별 규제 철폐 없인 경제성장 불가능"
이찬진 금감원장 "저축은행 고위험 여신 지양"
허윤홍 GS건설 대표 “청계리버뷰자이 근로자 추락사…머리 숙여 사죄”
뉴스댓글 >

SNS